[학술논문] ‘교양’되는 북조선 - 1940년대 후반 북한소설 「개벽」, 「로동일가」, 「소낙비」에 투영된 근대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
북의 초창기 소설 서사는 해방기 한반도의 특수한 정치사적 상황하에서 남북 정부 모두의 지향이던 ‘국토완정’의 맥락을 공유한다. 이 소설들에서 북은 과거(식민지 시기)의 청산 위에 세워지는 새로운 공간인 동시에 공산사회 유토피아를 한반도 전체에 실현하기 위한 출발점이며 서사는 등장인물과 독자들을 이곳에 전제된 일관된 질서 내에 편입시키고자 한다. 이 질서는 구조적으로 수령을 정점으로 한 위계구도가 기본이 되며 그 의미는 수령의 자리를 채우는 구체적 대상에게 절대적인 신뢰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각 서사의 주요 과제를 해결하는 근원적인 힘이 이 신뢰감과 밀접히 관련되기 때문이다. 즉, 이 신뢰감이 내면화되어야 과거에는 자연적으로 밀착되어 있지 않았던 것들을 ‘좋은’ 것과
[학술논문] 미국 헌법상 전쟁권한을 둘러싼 의회와 대통령의 관계- 미 의회의 북한공격예방법안과 관련하여 -
의회의 법적 승인 없이 대통령이 북한에 군사행동을 할 수 없도록 해당 예산의 지출을 차단하는 내용의 법안(H.R. 4140)이 미국 하원에 제출되었다. 미국에 대한 즉각적인 위협이 없는 상황에서 대통령이 의회의 승인없이 북한에 대한 선제공격을 결정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도 상원에 제출되었다. 두 법안 모두 북한이 미국을 먼저 선제공격하거나 미국 또는 동맹국들에 대한 즉각적인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 한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선제공격하거나 군사 공격에 비용을 지출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북한에 대한 선제공격 금지를 위한 자금 사용 금지법’ 등의 법안들이 공식 법률로 채택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 법안들에서 드러나는 의회의 인식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일 북한에 대한 강경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시에 나타난 ‘어머니’의 이미지-『조선문학』(2012-2019)를 중심으로
...드러난다. 국가와 당이 한 몸인 북한에서 당은 ‘어머니 당’, ‘어머니 조국’으로 불리며 체제 강화의 수사로 자리잡고 있다. 어머니가 화자인 시나 육친의 어머니를 소재로 한 시에서도 ‘어머니’는 자식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에 앞서 김일성 일가와 북한 사회주의를 지키는 혁명 전사를 기르고, 노동일군, 선군시대의 전사를 키워내는 양육자로 표상되고 그 역할을 최고의 기쁨과 자랑으로 삼는 사회주의 구성원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이는 최근에 더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어머니 대회’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이 대회의 핵심은 ‘다산’인데 이는 심화되는 출산 기피와 출산율 감소를 혁명 세대의 감소로 인식한 북한의 조치일...
[학술논문] 소유 없는 경쟁 - 북한 초기의 노동 개념과 이북명의 「노동일가」(1947)
...개념이 형성되어가는 과정을 고찰하며, 이북명의 소설 「노동일가」를 통해 그 노동 개념이 경쟁을 동원하는 논리와 결합되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해방 직후 북한은 일련의 민주주의적 개혁을 신속히 추진하는 한편, ‘독립된 민주국가 건설’이라는 절대적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사회의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는 체제를 놀랄 만큼 빠른 속도로 형성해갔다. 강렬한 자발성을 전제한 이 특이한 총동원체제는 ‘보상’과 ‘비판’이라는 기제를 작동시키며, 경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그리고 노동규율과 사상성을 뒤섞고 모든 인민을 ‘근로자’로 만드는 노동국가를 형성해 갔다. 이북명의 「노동일가」는 이 ‘국민개로(國民皆勞)’의 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