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것은 이 책이 국내 최초다. 둘째, 북한 여성의 화장품 사용 실태를 밝히기 위해 200여 명의 탈북 여성을 대상으로 북한에서 거주할 때의 화장품 사용 경험을 설문 조사했다. 설문 조사의 통계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10여 명의 탈북 여성과 집중포커스 인터뷰를 진행했다. 셋째, 북한 당국의 기관지인 ≪로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 및 여성 대상 기관 잡지인 ≪조선녀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역대 3대 지도자의 화장품 생산 관련 발언과 의도 및 현지지도 동향을 통해 정책 의도를 파악하는 데 주력했다.
북한 화장품, 베일을 벗다
살결물, 물크림, 분가루, 입술연지, 삐아스, 눈썹먹…
이 책의 저자인 남성욱 교수는 30년...
[사회/문화]
...‘노획문서’라고 부르는 것이다. 저자는 상자로 1,200여 개에 이르고 목록도 제대로 만들어져 있지 않은 신·구 노획문서를 모두 검토해 북한 민중들의 삶을 확인할 수 있는 것들을 발췌하고 문서와 문서를 대조하면서 당시 북한 민중들의 일상을 재구성하는 데 활용했다.
이 밖에 북한의 다양한 기관이 발행해 온 정기 간행물(『활살(화살)』, 『조선여성(조선녀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내각공보』 등), 북한의 기관지(『로동신문』, 『민주조선』), 북한에서 발간된 단행본 자료(『조선전사』, 『조선중앙연감』, 『인민들 속에서』 등), 북한 경험자들의 수기, 탈북자의 증언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방대한 작업을 통해 북한 민중들의 생활을 깊이 있게 파악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학술논문] 북한의 『무예도보통지』 연구 동향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무예도보통지』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82년부터 2015년까지 북한의 『무예도보통지』 연구는 문헌 10편, 영화 1편 등 총 11편이었다. 세부유형별로 분류하여 살펴보면, 『천리마』 4편, 『조선녀성』 2편, 『민족문화유산』 2편, 『인민교육』 1편, 『력사과학』 1편, 조선예술영화촬영소에서 제작한 「평양날파람」 영화 1편 등이다. 둘째, 북한 『무예도보통지』 연구는 김일성과 김정일의 교시 내용을 제시한 후, 저자의 『무예도보통지』와 관련된 견해를 함축적으로 설명하였다. 우리나라 『무예도보통지』 연구와 다른 점은 선행연구의 검토가 생략되었다. 셋째, 북한의 학자들은 모두 조선시대의 전통성을 이어온 문화계승과 보존의 차원에서 『무예도보통지』를...
[학술논문] 「조선녀성」에 드러난 북한의 가족과 자녀 교육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북한의 「조선녀성」을 대상으로 1993, 1998, 2003, 2008, 2013년 5개 연도에 걸쳐 48권 총 2,669편의 기사를 분석하고 북한의 가족과 자녀 교육 및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녀성」은 2000년대 이후 발간 주기가 단축되고 지면이 늘어나면서 연간 편수가 증가했고, 2008년 이후의 자료에서 생활·문화 관련 기사들이 많아졌다. 목차 주제 분석 결과 최근으로 올수록 ‘사회문화’영역 기사의 비중이 높아지고 가족 및 교육 관련 기사의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내용 분석 결과 2000년대 이후 부부, 고부관계, 친족 기사가 증가하고, 자녀 출산의 의무와 보다 엄격한 자녀 교육이 강조된다. 식량 절약에 대한 언급은 지속되고 있으나...
[학술논문]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의 국가가부장제의 재생산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과 가족을 둘러싼 공식담론과 북한이탈주민들의 경험을 통해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의 국가가부장제의 재생산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2012년 1호부터 2015년 5호까지의 『조선녀성』과 북한이탈주민과의 면접 조사 결과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북한은 사회주의 대가정론에 근거한 어버이 담론과 사회적 모성 담론을 통해 가족국가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담론은 고난의 행군과 경제 위기를 거쳐 김정은 집권 시기에도 국가가부장제를 지탱하는 기반이며, 여성은 어버이 수령과 당의 딸이자 가정과 사회의 꽃으로 재현되고 있다. 둘째, 고난의 행군 이후 가족이 국가적 통합구조에서 이탈하는 양상이 김정은 체제에서도 지속되고 있으며, 북한은 전통적인 어머니, 아내, 며느리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국가의...
[학술논문] 남북한 『무예도보통지』의 성과와 과제
...『무예도보통지』에 실려 있는 창, 도검, 권법, 마상무예, 무기명 등 다양한 종류의 무예 기법에 대한 동작기술, 자세, 복식 등의 분석과 문화콘텐츠를 비롯한 다른 분야의 책과 비교하는 연구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북한의 『무예도보통지』 연구 성과이다. 1982년부터 2015년까지 문헌 10편, 영화 1편 등 총 11편이다. 세부 유형별로는 『천리마』 4편, 『조선녀성』 2편, 『민족문화유산』 2편, 『인민교육』 1편, 『력사과학』 1편, 조선예술영화촬영소에서 제작한 <평양날파람> 영화 1편이다. 북한의 연구는 선행연구가 생략되었으며, 김일성과 김정일의 교시 내용을 제시한 후, 『무예도보통지』와 관련된 저자의 견해를 1장에서 2장 내외로 함축하여 정리하고 있다. 또한 모두 조선시대의 전통성을 이어온 문화계승과...
[학술논문] 인민의 몸과 마음을 규율하는 지배 권력의 성(性)담론 - 『조선녀성』분석을 중심으로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sexual discourse, and North Korea’s ruling power governing bodies and minds of the people. North Korea has carried out an innovative three laws on nation building and was reconstructed in 1946 due to the socialist identity of the people. Power production is dominated by sexual discourse governing body and pow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people had d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