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석의 새 발굴 작품 셋과 사회주의 교양
...『소년단』 1956년 8월호 ‘여러 가지 란’에 세 작품을 한꺼번에 실었다. 동시 「소나기」, 줄글 「착한 일」, 줄글 「징검다리 우에서」가 그것이다. 이 글은 그들을 발굴, 소개하기 위해 마련했다. 「소나기」는 의인화한 소나기가 어린이의 등굣길에 벌이는 짓궂은 장난을 빌려 게으름 피우지 말라는 훈육의 주제를 웃음으로 녹여낸 작품이다. 「착한 일」은 조합 소에게까지 마음을 기울이는 소녀의 선행을 그렸다. 이를 빌려 집단주의 노동 교양을 넘어선 곳에 닿아 있는 백석의 문학주의 의식을 엿볼 수 있다. 「징검다리 우에서」는 소년과 할아버지가 징검다리에서 맞닥뜨린 사건을 줄거리로 어른 공경이라는 덕성 훈육을 반전의 짜임새로 겨냥한 작품이다. 이들 세 작품은 모두 이야기 양식에 닿아 있고, 어린이의...
[학술논문] 북한선교를 위한 ‘주체사상’ 과‘유물론적 신학’의 대화
...Zizek)은 스스로를 유물론자로 자체하면서 기독교를 해석한다. 그에 따르면, 기독교의 전복적 핵심은 오로지 유물론적 접근을 통해서만 이해할 수 있으며, 역으로 진정한 변증법적 유물론자가 되기 위해서는 기독교적 경험을 거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무신론자/유물론자인 지젝의 기독교 해석은 유물론에 토대를 두고 있는 주체사상에 적합한 북한신학의 구성을 위하여 하나의 징검다리로서 큰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통일신학도 중요하지만, 통일신학이전에 북한신학과 북한적 기독교가 구성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 논문은 우선적으로 북한선교의 유형과 정책을 간단하게 살펴보면서 심층적 북한선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두 번째로 북한의 주체사상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중심으로 북한 주체사상의 특징을 유물론과 인간중심으로 정리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