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화 <모란봉>(1958)과 음반
...OST 음반에 수록된 창극 <춘향전>의 세부 장면 <이별가>, <십장가>, <춘당시과>, <박석티>, <옥중가>를 분석한 결과를 1950년대 북한 창극계의 변화와 관련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50년대 북한 창극 <춘향전>의 정립 과정을 확인하였다. 1955년에 『조선창극집』을 통해 정리된 희곡이 1956년∼1958년 사이 『조선민족음악전집(창극 및 민족가극편)1: 창극 <춘향전>(초고)』에 이르러 실연 가능한 창극 형태로 정착하였고, 영화와 음반에 수록된 부분은 1950년대 말 그 완성판의 한 예시에 해당한다. 1960년대 이후 <춘향전>은 더 이상 기존의 판소리식 창극으로 공연되지 않았기에...
[학술논문] 『조선창극집』 및 『조선민족음악전집(초고)』 수록작 비교로 본 1950년대 북한 창극 <춘향전>의 양상
본 논문은 희곡 형태로 된 『조선창극집』 수록 대본 <춘향전>(6막 7장)과 악보 형태로 된 신자료 『조선민족음악전집(창극 및 민족가극편)1: 창극 <춘향전>(초고)』 수록 <춘향전>(6막 12장)을 대상으로 1950년대 북한 창극 <춘향전>의 정립 양상을 고찰한 연구이다. 북한이 1950년대를 전후하여 ‘창극’이라는 이름으로 무대에 올린 <춘향전> 공연 대본은 김아부 각색작과 조운(조운․박태원) 각색작의 두 계열로 나뉘며, 이중 더 활발히 공연된 것은 본 논의 대상이기도 한 전자이다. 『조선창극집』은 1955년에 간행된 일종의 창극 대본 자료집으로, 여기 수록된 <춘향전>은 1954년 12월에 초연되어 작품성이 뛰어나다는...
[학술논문] 『조선창극집』(1955) 소재 창극 대본 〈흥보전〉의 특징과 의미
After the Korean War, North Korea controled culture and art more strictly than before, founded on basic construction of socialism. As a traditional opera shared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hanggeuk underwent a lot of changes in North Korea during this period and 『Joseonchanggeukjip』 is a Changgeuk collection which was published in this period. 『Joseonchanggeukjip』 is valuable 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