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50년대 한국사 연구의 새로운 경향과 동북아시아에서 지식의 內面的 交流 -관점과 태도로서 ‘주체적·내재적 발전’의 胎動을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ow the academic tendency of trying to understand one’s national history from the ‘internal’ perspective-a perspective that which defines one’s national history as a result of their own independent choices-was begotten in each country according to their own particular historical situation, as it did in the case of Korea. The study of Korean
[학술논문] 북한 역사학의 3・1운동 인식-주요 통사류의 관련 서술 분석-
이 글에서는 북한 역사학을 대표하는 통사와 운동사에서 3・1운동을 어떻게 그려 왔는가를 분석하였다. 북한 역사학이 3・1운동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체계화하여 전체적인 역사 서술 속에 위치 지었는가를 밝히기 위해서이다. 북한 역사학의 3・1운동 인식은 유물 사관에 충실한 건국 초기, 민족의 주체성을 강조한 1960년 전후, 평양의 운동과 김일성 가계의 활약에 주목한 1980년대 이후의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북한 역사학의 3・1운동 인식에 보이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역사학은 3・1운동을 끝으로 1910년대 부르주아 민족운동 시기가 막을 내린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북한 역사학은 3・1운동의 발생과 전개에서 노동자, 농민의 역할을 강조하였고, 노동자계급의 미성숙을 운동이 실패한 원인으로
[학술논문] 1950~60년대 『조선통사(상)』 간행과 북ㆍ소 역사학계 갈등
해방 후 1960년대까지 북한 역사학계의 역량은 1956년과 1962년 두 차례 간행된 『조선통사(상)』의 초판과 개정판을 통해 가늠해볼 수 있다. 초판이 축적된 연구의 부족 등 이유로 인해 초판이 명확한 시대구분을 하지 못한 채 中性的인 설명과 표현으로 충당된 반면, 개정판은 ‘당의 과학 정책을 관철하기 위한 투쟁’의 성과를 쟁취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삼국시기의 사회경제 구성에 대한 토론이 마무리되면서 ‘합의’에 의한 일관된 서술이 이뤄졌고, ‘주체적 입장’에 의해 새로운 이론의 틀을 마련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소련을 향해 배우자’던 기치 아래 연구를 진행하던 북한 역사학계는 ‘주체적 입장’이라는...
[학술논문] 삼한 · 삼국 분국설의 구상과 파급
...그리고 신화학 등 다방면에서의 치밀한 검토를 통해 제기된 것이었고, 김석형 개인이 아닌 북한 학계의 집단적 토의의 산물로도 볼 수 있었다. 분국설 구상의 배경에는 1960년대 북한 학계의 학적 경향성이 있었다. 분국설이 제기되기 전 북한 역사학의 당면 과제는 ‘고대’의 사회경제 구성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 과제는 1962년판 『조선통사』(상)에서 삼국 이전의 고조선과 부여ㆍ진국을 고대노예제사회로 삼국시대를 중세봉건적사회로 명확하게 구분하여 서술함으로써 해결되었다. 1961년말 새로운 연구주제로서 ‘대외관계사’가 설정되고 있다. 이 시점을 전후로 ‘고대’의 사회경제 구성에 대한 논쟁이 마무리되고 있던 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설정이...
[학술논문] 북한의 고려-거란 전쟁에 대한 역사인식과 평가 -강감찬과 귀주대첩을 중심으로-
...especially on the 3td great victory at Guiju where Gang Gam-chan participated. The objects were the history books styled for a to z description published officially by North Korea, i.e. 『Joseon Tongsa(朝鮮通史)』 and 『Joseon Junsa(朝鮮全史)』, and the books described in sectional history (Theme history) such as 『History of Anti-invasion Battling of Korea People(朝鮮人民의 反侵略鬪爭史)』 and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fore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