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체문예론의 형성과 김정일의 초기 예술론
이 글에서는 북한의 공식 문예론인 주체문예론의 초기 형성과정을 다각도로 재조명한다. 아울러 그와 관련된 김정일의 초기 예술론과 실무지도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체문예론의 형성에는 김일성이 창조했다는 ‘항일혁명문학예술’의 전통을 김정일을 비롯한 주체문예론의 이데올로그들이 1970년대에 각종 예술작품, 공연으로 재현, 재창작한 경험이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이에 주체문예론이 북한 문학예술의 유일 이론으로 정착하는 데 참여한 강능수, 한중모, 정성무 등의 이론적 기여와 김정일의 청년시절 초기(1964-73) 문예론을 구체적으로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미학의 ‘조선화’ 차원을 넘어서 보편 미학과 차별화된 주체문예론의 자기정립이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학술논문] 김정일 문예론 연구 서설
...동시에 김정일의 문학예술부문 이론과 실무지도를 정리, 연구한 총서도 간행되었다. 그의 문예론은, (1)‘영화예술론’등 8대 장르론(8권, 1973~92), (2)‘문학예술의 영재’(20권, 1985~2005), (3)‘김정일의 문예리론총서’(40권, 1982~87), (4)‘주체문학예술에 대하여’(5권, 1989~1990), (5)‘김정일의 문학예술 지도업적’(12권, 1990~95), (6)‘20세기문예부흥과 김정일’(13권, 2002), (7)‘선군혁명문학예술과 김정일’(5권, 2005) 등이 나와 방대한 ‘유일이론체계’가 확립되었다. 김정일의...
[학위논문] 북한체제 전통미술의 변용과 보존 : 단청과 불화를 중심으로
...주체사상에서 찾고자 했다. 그러나 주체사상은 그 작용범위가 워낙 넓고 방대하여 여기에서는 불화와 단청에 영향을 주고있는 ‘주체문예이론’, ‘종교정책’, ‘민족문화정책’과 관련하여 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북한을 피상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실재 문화변화 현상을 통하여 좀 더 깊이 이해하여 통일을 전제로 한 민족의 사회문화적 통합에 기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북한의 단청 및 불화 변용과 보존에 주목하게 된 계기는 1992년 출판된 김정일의 ‘주체문학론’의 “민족문화유산을 옳게 계승발전시키는 것은 ‘주체적문학예술건설’에서 나서는 중요한 문제의 하나이다. 어느시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