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석·동화시·『집게네 네 형제』: 남북한에서의 생산·독해·정전화 문제를 중심으로
이 연구는 백석의 동화시집 『집게네 네 형제』(1957)가 남북한에서 어떻게 생산되고수용되었으며, 정전화 과정에서 전격 배제되거나 포용되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북한에서 ‘도식주의’ 비판이 전개되던 시기, 백석은 오직 사상성과 교양성만 강조하는 권력과 이념 지향의 문인들에 맞서, 언어의 순수성과 시의 음율성을 일관되게 내세웠다. 또한 이상적 사회주의의 건설을 위해 인민의 언어와 생활, 문화에 초점을 맞춰야 함도 잊지 않았다. 그는 이 과정에서 인민들의 연대와 헌신을 높이 사는 한편 부유층의 횡포와착취, 그리고 인민의 소극적 행동을 날카롭게 비판하는 『집게네 네 형제』를 출간했다. 북한의 문단 권력은 이 시집에 대한 높은 평가에도 불구하고, 이후 발표된 백석의 동시들과 시집들에 대해서는...
[학술논문] 백석의 동화시와 마르샤크의 동화시 비교 연구
백석이 번역한 쓰. 마르샤크의 『동화시집』은 여러 연구자들에게 언급되었으나 그 실물을 확인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 백석의 번역 텍스트들이 속속 발견되면서 마르샤크의 『동화시집』도 발견되었다. 본고에서는 백석의 『집게네 네 형제』와 쓰. 마르샤크의 『동화시집』을 비교 분석하였다. 백석은 아동문학 논쟁에서 자신의 동시를 옹호하기 위해 마르샤크를 언급했으며, 마르샤크 탄생 70주년을 맞이하여 그의 생애와 그의 문학에 대해 소개하기도 했다. 그리고 마르샤크의 『동화시집』이 백석의 동화시집이 나오기 2년 전에 출간되었던 점에서 백석의 동화시 창작에 직접적인 동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마르샤크의 『동화시집』과 백석의 동화시를 비교 연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이 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