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담론과 남북한 문학사 소통방안
이 글은 ‘우리’ 한국문학(사)의 타자이자 소수자라 할 북한문학(사)을 어떻게 볼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북한문학은 언젠가는 재통합될 한반도 이북의 우리 민족의 문학이니 이념 차이 때문에 무조건 배제할 수는 없다. 북한문학도 문학이며 ‘우리문학’이기에, 궁극적인 통합을 위해서 원래 하나였던 것이 해방 직후 분단된 과정을 천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백철의『조선신문학사조사』, 조연현의『한국 현대문학사』, 한효의 .현대조선문학사조』, 안함광의『조선문학사 1900~』, 과학원 문학연구실의『조선문학통사』(하) 등을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북 학자들이 자기중심으로 현대문학사를 전유하고 상대를 배제하는‘뺄셈의 서술’을 통해, 자기 체제의 역사적 정통성을...
[학술논문] 한국 현대문학사와 아산 - 아산 문학의 네 좌표 : 이기영, 조영출, 이어령, 복거일-
이 논문은 현대문학사에서 아산이 차지하는 문학사적 위상과 의미를 고찰한다. 아산 문학을 조망할 네 좌표로 시인, 극작가, 소설가, 비평가 등 다양한 문학 활동을 한 아산 출신 작고 문인 조영출과 이기영, 그리고 현역 문인 이어령과 복거일의 작품세계를 간략히 살펴본다. 이기영의 『고향』은 1930년대 대표적 농촌소설로서 리얼리즘 소설의 정점이자 민족문학사의 정전으로 평가받아왔다. 이 작품은 농촌의 전통적 생산양식과 생활방식이 근대 자본주의적 생산양식과 생활방식으로 교체되면서 일어나는 변화를 반영하며, 1920~1930년대 이후 동아시아에서 급격하게 전개된 식민지 자본주의의 팽창과정과 피지배 국가에서 일어난 대응방식을 설명해주는 텍스트이다. 식민지 시대 조영출의 시세계는 전통적 서정과 모더니즘적 언어를 결합하였고...
[학술논문] 중국과 일본에서 저술된 한국현대문학사의 한국전쟁 인식과 문학사 기술양상 -허쩐후아의 『조선현대문학사』와 사에구사 도시카쓰의 『한국문학을 맛보다』를 중심으로-
...일본에서 저술된 한국문학사 중에서 허쩐후아의 『조선현대문학사』와 사에구사 도시카쓰의 『한국문학을 맛보다』를 중심으로, 각국의 한국전쟁 인식과 이에 기반한 한국전쟁문학의 특징적 기술양상을 고찰하였다. 먼저 허쩐후아의 『조선현대문학사』는 한국전쟁에 대한 중국의 기본인식이 충실히 반영된 문학사로, 기본적으로는 북한문학사의 시기구분과 주제 분류에 바탕을 두면서도 주체사상에 기반한 유일사상체제와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중조우의(中朝友誼)’를 내세운 국제주의적 친선과 ‘항미원조전쟁(抗美援朝戰爭)’으로서의 한국전쟁의 위상, 인민대중의 혁명적 영웅주의와 애국주의를 강조하는 입장을 취한다. 즉 한국전쟁에 있어서 중국과 북한의 정치적 결속 및 역사적 상관성, 한국전쟁에서의 중국의...
[학술논문] 中․日 한국현대문학사의 해방공간 서술양상과 그 의미
여기에서는 중국과 일본에서 저술된 한국현대문학사의 해방공간 서술양상을 남북한문학사 및 자국문학사와의 시각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단 이후 남한과 북한은 해방공간에 대한 역사적 인식차로 인해 문학사 기술에 있어서도 극명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는 반면, 남북을 비교적 근거리에서 조망하는 中․日 한국문학사에는 남북의 시각과 다른 지점들이 있어 주목을 요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저술된 김병민(金柄民) 외의 『조선․한국당대문학사』(2000)와 일본에서 저술된 사에구사 도시카쓰(三枝寿勝)의 ≪韓国文学を味わう≫(1997)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이들 문학사가 우리의 해방공간을 서술하는 데 있어 드러내는 시각차를 분석해 보았다. 김병민의 경우, 해방공간에서 좌우익의 작가가 공통의 관심사를 가졌다는 사실에 착목하면서...
[학술논문] 한국전쟁이후 문예지(종합지)의 외국문학 수용과 이해
이 연구는 한국현대문학사 전개에 중추가 된 종합지와 문예지를 대상으로, 번역된 서구문학과 그 수용이 한국 문학 장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외국문학 수용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사tlf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한국전쟁이후 프랑스 실존주의 문학의 수용과정을 번역된 작품과 이론, 이를 적용하는 평론가들의 담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국에서 실존주의 문학의 발생 배경, 영향 관계 등을 실증적이고 구체적인 자료는 한국전쟁을 세계사적인 맥락에서 파악함으로써, 이데올로기의 발생과 이를 극복하려는 인간성 탐구의 노정을 세계 보편성으로 파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반공이데올로기와 반공소설의 배경이 되는 서구 열강의 냉전(Cold War)과 대립의 실제 양상을 문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소련과 위성국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