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편서사시『白頭山』의 창작토대
본고는 북한문학에서 항일혁명문학의 전범을 보여준 작품으로 평가된 조기천의 장편서사시『白頭山』의 창작토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백두산』창작토대에는 趙基天의 문학 활동, 항일혁명의 영웅적 활약상을 형상화했던 재소 고려인문단의 특수성, 소련문학의 영향 등이 작용하였다. 항일혁명의 전설적인 영웅을 형상화했던『홍범도』 는 실제『백두산』작품과 여러 면에서 매우 유사했다. 그리고 조기천이 소련에서 문학 활동을 전개하던 시절 유행하고 성행했던 서사시나 장편서사시, ‘뽀에마’ 등은 마야코프스키 시와 결합하여『백두산』이 창작된 토대로 작용하였다. 『백두산』의 창작토대에 마야코프스키의 시풍과 작시법이 작용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나, 조기천은 마야코프스키 시를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변용, 변주하여...
[학술논문] 장편서사시 『白頭山』 연구 -창작 의도를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creative intention of long epic poetry 『Mt. Baekdu』 by Jo Gi-cheon, which was evaluated as a work that showed a classic of anti-Japanese revolution literature in North Korean literature. Jo Gi-cheon already released a novel titled <49> in the Soviet Union before creating 『Mt. Baekdu』. The contents were what embodied the heroic anti-Japanese revolutionary
[학술논문] 상징사 설정에 대한 논의
이글의 목적은 북한의 국어학계에서 일부 학자가 주장하는 상징사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상징어는 한국어의 주요 언어적 특성 가운데 한 가지이다. 한국에서는 상징어를 부사의 하위 범주로 다루고 있으나, 일반 부사와는 차별화 되는 점이 적지 않다 일반 부사 류의 주된 기능은 주로 용언을 수식한다는 것이지만 상징어는 용언 수식 기능 이외에도 관형사처럼 체언을 수식하는 경우도 적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주목할 만한 특성은 서술어의 기능을 할 때도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문장 내에서 독립어의 기능도 수행한다. 조어적 차원에서 상징어가 일반 부사와 다른 점은 ‘-거리다, -대다, -하다, -이다’와 결합하여 파생어를 형성하는 데 매우 생산성이 있다는 것이다. 상징어는 파생법 과
[학술논문] ‘홍범도’ 트러블 - 카자흐스탄·북한·남한의 홍범도에 대한 서사적 재현과 곤경
...‘홍범도 논란’에서 출발했다. 주지하다시피 이 논란을 확산하는 데는 현 정부의 역할이 컸다. 이에 힘입어 현 정부를 동조하는 측에서 제기하는 쟁점은 크게 네 가지이다. 1장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의 뿌리 깊은 냉전/반공 심성이 문제시되었다. 그 근저에 깔린 적대와 분열 없이 현재의 홍범도 논란은 해석될 수 없기 때문이다. 아울러 소련 적군으로 편입은 되었으되 실제 활동은 없었다는 식의 홍범도에 대한 소극적 방어논리가 지닌 한계도 짚어졌다. 2장에서는 홍범도에 관한 남겨진 기록이 드문 현실을 고려해 귀중한 사료 가치를 지닌 「홍범도 일지」에 대한 시간별 서사 분절이 처음 시도되었다. 이 속에서 자전적 일대기를 틀 짓는 특정 시간대의 공백이 또한 가시화되었는데;현재의 홍범도 논란과 관련해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