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アイゼンハワーの米韓相互防衛条約への承認過程と反共捕虜の釈放
...進展振りに危機感を覚えた李承晩は、1953年6月18日夜明け、北朝鮮軍の反共捕虜を電撃的に釈放するに至った。韓国軍の国連軍司令部の指揮からの離脱を最も警戒していた米国にとって、これは同司令部の権威に挑戦するかのような単独行動にほかならなかった。ただ、李承晩は、反共捕虜の釈放以降、追加的な大規模の釈放に踏み切ることなく、自らの単独行動によって悪化した状況の沈静化を図ろうとする一方で、「休戦に関わることなく休戦を支援できる」と韓国の休戦協力への可能性を初めて表明した。李承晩による反共捕虜の釈放は、従来の休戦反対の姿勢から本格的な米国との交渉に応じる姿勢への転換を予告するものであったと言えよう。これ以降、休戦協力への条件と米韓相互防衛条約の条項をめぐる米韓間の協議が本格化するのである。
[학술논문] 한국전쟁 휴전회담과 전후체제의 성립
...주장했고, 휴전회담이 지연되었다. 전선 밖에서도 다양한 압력수단이 사용되었다. 공산측은 포로수용소 폭동을 일으키는 한편 유엔군이 세균전을 자행했다고 비난했고, 이에 맞서 유엔측은 북한에 대한 대대적 폭격으로 맞섰다. 1953년 봄 휴전에 대한 양측의 합의가 임박하자 한국정부는 휴전에 반대하며 이중공세를 펼쳤다. 한편으로 작전지휘권 환수, 단독북진, 반공포로 석방이라는 극한적 공세를 펴면서, 한편으로는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체결과 군사원조를 요청했다. 미국은 이에 맞서 이승만 제거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한미상호방위조약 협상에 나섰다. 한국군 통제를 위해 미국은 한국군의 작전통제권을 계속 유엔군사령관에게 둘 것을 요구했고, 이승만 대통령은 편지로 이를 수락했다. 한국전쟁의 와중에서 미국은 일본과 평화조약을 체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