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韓㳓劤의 韓國史學 方法論에 대한 고찰
...대하여, 그것이 한국사학을 근대사학으로 진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높게 사면서도, 역사가의 主觀을 인정치 않고, 종합적 판단이나 의미 부여에 무관심했다는 점에서 비판하였다. 民族主義史學에 대하여는 조심스럽게 그 혁신성과 주체성을 인정하면서도 학문적으로는 저항으로서의 역사가 지니는 문제점을 들어 錯雜性을 내세워 신중한 태도를 나타냈다. 唯物史觀에 대해 그는 강하게 비판하였는데, 唯物辨證法에 입각한 보편적 민족개념의 沒覺과 특히 북한에서의 계급사관에 따른 역사 왜곡과 민족문화 말살이 비판의 근거였다. 한우근은 實證史學․民族主義史學․唯物史觀에 대한 검토와 비판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연구방법을 모색하며 많은 고민과 성찰을 하였고 최종적으로는 크로체가 주창한 ‘보편적이면서 동시에 국민적일 수...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역사교육 인식 연구
...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중심 현상으로는 ‘350세대의 강한 불신 인식’, ‘680세대의 믿음, 반신반의 불신 인식’, ‘920세대의 믿음, 혼란, 불신 인식’이 도출되었다.
중심 현상의 첫 번째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은 ‘350세대의 유물사관 교육 경험’, ‘680세대의 주체사상 교육 경험’, ‘920세대의 주체사상 교육 경험’이었다.
중심 현상의 두 번째 원인이 되는 맥락적 조건은 ‘350세대의 재북 당시 북한판 분서갱유 및 내부 증언자 경험’, ‘680세대의 재북 당시 강요된 믿음, 김일성...
[학술논문] 해방 이후 북한의 역사학계와 박시형: 혁명적 역사학의 조건들
이 글에서는 식민지기부터 1960년 무렵까지를 대상으로 박시형의 생애와 역사인식을 검토하고, 북한 사학사의 한 측면을 살펴본다. 박시형은 경성제국대학에서 조선시대의 전세제도를 연구했지만, 식민지주의적 프레임을 벗어나지는 못했다. 감옥에서 해방을 맞이한 박시형은 조선공산당에 가입하고, 월북하여 김일성종합대학의 교수가 된다. 북한에서 박시형은 집체적 연구와 토론을 통해 유물사관을 단련시켜나갔다. 여기서 그는 혁명적 역사학의 조건들을 발견했다. 50년대 중반부터는 삼국시대의 사회구성체에 관한 논쟁에 참가하여 세계사적 보편성과 아시아적 특수성을 결합시키는 관점을 제시했다. 각 정치적 종파 사이의 권력투쟁이 심화되는 와중에서도 박시형은 유물사관에 대한 신념을 버리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60년대 이후 발해사 연구를 예고하면서
[학술논문] 『조선보건사』를 통해 살펴본 북한의 전통의학 인식- 근대 이전 의학사를 중심으로 -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한국의학사』, 『한의학통사』 등 남한의 의학 사서와의 비교를 통해 이 책의 특성을 명확히 드러내고자 하였고, 북한 내 역사연구의 흐름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선통사』와 북한의 전통의학 관련 사전 및 학술잡지를 검토하였다. Result & Conclusion :『조선보건사』에 나타나는 역사관은 크게 국가 중심의 역사관, 유물사관, 민족주의적 역사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은 북한의 주체사상을 이루는 핵심요소들로서 의학적 사실의 해석에도 영향을 미쳤다. 새로운 사료와 해석을 제시한 점, 한국 의학이 독자적 발전에 대한 문제의식을 던진 점은 긍정적이나, 확정된 관점을 통해 사료를 해석하는 역사 기술 방식은 큰 한계를 지니고 있다. 북한의 ‘고려의학’은 학술적...
[학술논문] 북한의 고등학교 「조선력사」의 고대사 인식과 민족 서사의 변화
...반제국주의에 기반한 자주적 역사관을 강조했고, 이에 따라 신라의 삼국 통일을 깎아내리고 고구려와 발해의 민족관을 높이 평가했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조선민족제일주의라는 기치 아래 단군조선의 역사를 복원하고 조선옛류형 사람을 도입하여 고조선의 민족사적 원류를 강조했다. 특히 김정은 정권의 2013년 교육과정 개정 이후에는 혈통 중심의 단일민족론을 정립하고 유물사관 및 주체사관과단군민족사관을 결합하여 고조선-고구려-발해의 민족사적 연속성과 평양 중심의 역사관을 내세우고 있다. 시대적, 정치적 변화에 따른 차별성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는 혈통 중심의 원초론적, 영속론적 근원주의에 입각한 민족 정체성 교육을 강화해 온 것이다. 이 논문은 국가 형성, 주체사관 형성, 단군역사 도입, 김정은 집권에 주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