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平壤箕城圖’를 통해 본 平壤城의 構造와 現況
...조선시대에 작성된 고지도와 더불어 조선 후기 평양의 모습을 상세히 그린 ‘平壤箕城圖’를 통해 살펴보았다. ‘平壤箕城圖’는 조선 제22대 정조(재위 1776~1800)가 수원 화성을 축조하기 위한 모색으로 지도를 제작하면서 그 틀이 갖추게 되었다. ‘平壤箕城圖’는 평양의 역사 유적 및 관아의 위치를 상세히 그린 지도의 기능을 하면서도 수려한 자연풍경을 회화의 산수화법으로 표현한 地圖山水體 그림이다. 19세기 이후에는 기성도 병풍에 대한 수요층이 확대되면서, 평양이라는 주변 경관과 기록 혹은 기념을 목적으로 한 회화적인 요소가 가미되었다. 본고에서는 ‘平壤箕城圖’에 투영된 조선시대 후기 평양의 실제 모습을 통해 부성(내성), 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