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자 가치관의 이중성과 정체성의 분화
이 글의 목적은 탈북자 대상 심층면접에 기초해서, 남북사회에 대한 평가, 그리고 정체성의 변화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가치관과 정체성 형성의 배경으로서 탈북 이전의 북한사회, 탈북 후 제3국, 그리고 한국사회의 사회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개개인의 가치관 및 정체성은 그가 속한 사회의 체제와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형성되기 때문이다.(2장)탈북자는 법적으로 한국 국민이지만, 정서적・문화적으로는 북한에 대한 강한 애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남북사회에 대한 그들의 평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탈북자의 가치관에는 남한을 향한 체제 지향성과 북한을 향한 사회문화적 지향성이 함께 자리 잡고 있었다.(3장)또한 탈북자들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려는 인정투쟁은 같은 민족의 일원임을 드러내는 방향으로...
[학술논문] 남북한 민족주의 가치관의 이중성
...상황에 따라 각각 조감하면서 그 내부에민족지향과 국가지향이라는 두 가지 상충하는 흐름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있다. 우선 남한 민족주의의 역사적 전개와 이중성이다.(2장) 1990년대이전 남한 민족주의는 국가지향 가치의 우위가 압도적이었으나;1990년대이후 체제 중심의 국가지향 가치와 화해 협력 중심의 민족지향의 가치가갈등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그리고 현재 문재인 정부에서 두드러지고 있는 이른바 ‘대한민국 민족주의’에서도 민족성과 국가성의 이중성이지속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점을 고찰했다. 다음으로 북한 민족주의의 역사적 전개와 이중성이다.(3장) 1990년대이전 ‘사회주의적 애국주의’와 ‘민족’ 개념의 재해석을 통해 스탈린 민족담론을 변화시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