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한적십자사 초대 사무총장 손금성의 의료 수련과 적십자활동
...부활과 발전에 기여하였다. 또 그는 10여 년간 서울적십자병원장으로 활동하면서 적십자 의료체계의 발전과 의사의 양성에 큰 공헌을 하였다. 서울적십자병원 소속의 적십자간호학교장으로 간호원의 양성에도 상당한 역할을 하였다. 1959년 그는 서울적십자병원장과 적십자간호학교장과 적십자혈액원장을 물러났다. 이후 그는 의료와 적십자의 발전을 위해 잡지와 신문에 기고하였다. 특히 그는 대한적십자의 책임자를 만나 대한적십자사 부활의 비사를 알려주었다. 그리고 예방의학과 응급구호의 발전과 간호원 육성에 유념하도록 당부하였다. 앞으로 이 연구는 대한적십자사 조직의 부활과 정비와 발전에 관한 사실을 밝히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특히 서울적십자병원의 의료 발전과 간호원 양성에 관한 역사를 규명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학술논문] 통일 이후 북한지역 적정 일차간호인력 수급 추계
...건강격차를 비용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북한지역에 지역사회 기반의 일차보건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적정 일차간호인력의 수급을 추계하고 공급방안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북한의 간호인력 양성체계와 수급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재북 당시 간호원으로 근무한 경험이 있는 6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면담하였다. 면담과 문헌고찰 결과를 기반으로 통일 이후 북한지역 적정 일차간호인력의 수급을 추계하였다. 연구결과: 북한 간호원은 2년 교육과정의 간호학교와 6개월 교육과정의 군 간호원 양성소에서 매년 2,100~2,700명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 이후 북한지역 적정 일차간호인력은 84,160~105,200명이 필요하고, 공급에 있어서는 31,586~52,626명이 부족할 것으로 추계되었다. 결론: 통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