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핵 문제에 대한 요한 갈퉁의 갈등 이론적 접근
...갈퉁의 갈등이론을 중심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핵 개발과 핵무기 문제는 단지 자기 방어적 수단이 아니라 파괴와 폭력의 수단이며, 연쇄적 파괴 속성을 가지고 있기에 재래식 무기가 아닌 절대적 무기에 속한다. 따라서 북한 핵 무기와 관련된 갈등과 폭력의 속성들을 파악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갈퉁의 갈등이론을 파악하고, 평화적 수단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갈퉁은 갈등을 평화의 방해요소라고 인식하고, 갈등의 유발 원인을 ‘갈등 인자’로 분류하였다. 갈퉁은 갈등을 평화의 방해요소로만 보지 않고 긍정적인 면에서 평화의 에너지로서 본다는 점이다. 이러한 갈등을 갈퉁은 ‘창조적 갈등의 전환’으로서 이해하고 있다. 갈퉁의 이러한 갈등이론을 파악하고 갈등과 폭력의...
[학위논문] 남북한 전시소설 연구 : 스토리 유형을 중심으로
...접근하여 얻은 결론은 '전쟁문학', 혹은 '종군문학'이 아닌 '전시문학'이라는 용어로서 이 시기 문학이 규정되어야 한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전시문학'이라는 명칭과 아울러 전쟁 체험을 반영한 혹은 전쟁의 직간접적 영향 아래 놓인 전쟁기의 다양한 삶의 양태들이 전시소설이라는 명칭을 규정하는 실질적인 구성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전쟁이라는 시기적 특수성을 매개로 전시문학과 전시소설의 범주를 설정한 시점을 남북한 문학 양자에 적용하여 이를 동일한 지평에서 접근하는 일이 본고의 본격적인 연구 과제로 제기된다.
남한의 전시소설에 나타나는 유형적 검토에서 본고가 주목한 것은 작가들의 현실 대응과 그 주제적 측면이다. 이를 고려한...
[학위논문] 남북한 군비통제의 한계요인 극복방향에 관한 연구 : 쌍무적 군비통제 성립요건을 중심으로
...12개의 군비통제 한계요인에 대한 극복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군비통제 추진여건을 개선’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대 외적으로 군비통제 추진에 유리한 안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치ž외교적 노 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또한 남북관계 측면에서 남북한 간 진정한 신뢰구축과 정치ž경제ž사회 분야에 내재되어 있는 북한 변화의 추동인자와 동력을 찾아서 전략적 선제와 적극적 대응을 해나갈 필요가 있다. 아울러 한국은 남북한 군 비통제의 최대변수인 북핵문제의 실효적 해결을 위한 당사자로서의 역할을 강 화해나가야 한다. 둘째, 북한 비핵화 추진과 재래식 군비통제가 선순환 관계를 유지한 가운데 운용적 군비통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 향후, 운용적 군비통제는 접촉을 통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