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시의 극장, 선동과 공감의 매개체 - 한국 전쟁 시기 북한의 공연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 전쟁 시기 북한의 공연은 유무형의 극장에서 위문공연 혹은 각종 대회 형태로 진행되었다. 북한은 한국 전쟁 시기 공연의 감정 선동 효과에 대해 인지하고 활용하였다. 전쟁 초기 대규모 대회와 공연들은 검증된 레퍼토리, 친근한 가요를 통해 북한의 문화를 선전하는 동시에 동원을 이끌어내는데 기여하였다. 이 시기 공연은 극장 이외에도 민주선전실, 학교, 병원, 군부대 등에서도 진행되었다. 특히 이동연예단과 민주선전실의 공연은 전쟁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창작한 단막극과 전시가요 위주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군인의 애국적인 면모, 전쟁 책임 소재, 후방 인민의 자세 등의 변화하는 정책을 반복 주입하였다. 또한 우호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사회주의 국가에 공연단을 파견하기도 하였다. 한국전쟁 시기 북한은 극장과 공연을...
[학술논문] 남북한 아동문학 판타지의 통일담론 연구
... 통해 선명하게 확인될 수 있었다. 남북이 마음으로 화합하면 통일이 될 수 있다는 그리움과 기억의 내향형 판타지를 통해 통일의식을 드러낸 남한, 그리고 외세에 대항하는 힘을 같이 길러야 통일이 될 수 있다는 외향형 판타지를 지속적으로 선동한 북한의 통일의식은, 1954년 이 두 아동문학 판타지 작품들에서 포착되는 것처럼, 휴전 직후부터 분기되어 강하게 서로간의 차이점을 노정하여 왔던 것이다. 남한의 통일관과 북한의 통일관이 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모습으로 성장해온 문화적 기원이 이 연구에서 확인됨으로써 향후 남북한이 그 정치사상적 배경의 차이를 상호 이해하고 통합의 아젠다를 구체적으로 구상해 나아가는 데 중요한 기반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학술논문] 북한『노동신문』에 나타난 독도기사(2009~2017) 현황분석
...교과서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독도영유권 주장을 고수한 점이다. 그리고 독도관련 기사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1) 한국 정부 인사들의 소극적인 일본 대처 방안을 비난하는 것과 한국의 언론, 민간단체, 민간인들의 적극적인 대응과 규탄을 제시. 2) 일본의 독도영유권 등에 대하여 독도강탈, 침략이라고 하며 한국국민들에게 반일감정 선동역할. 3) 반미적대정책을 선동. 4) 남북 공동독도수호운동의 공동성명발표. 5) 일본이 북한에 의한 통일을 방해하는 것을 비난하며, 독도와 관련하여 통일전략전술을 내세우고 있다. 6) DB구축시스템과 종래 아카이브의 자료검색의 편차. 이것은 아직까지 북한과의 자료공유가 원활하지 않은 점에서 비롯된다. 결론적으로 북한의 독도인식이 매우 對日비판적이라는데 의미가 있다.
[학위논문] 1948年 平壤 「南北朝鮮 諸 政黨·社會團體代表者 連席會義」와 北韓의 統一戰線戰術에 관한 硏究
...비방 및 민중 봉기를 선동하는 민족해방인민민주주의혁명론을 주장하였고, 1985년에는 남한 내 반공세력을 제외한 모든 진보적 애국역량을 범 민족적 통일전선에 묶어 세워 적화운동에로 분기시키고자 하여 한국민족민주전선을 조작하여 한국민족자주선언을 발표하였다. 평양 연석회의 통일전선노선에 따라 북한은 한국전쟁 휴전 후 개최되었던 제네바 정치회담에서 미군 철수 및 남북의 군비 감축을 제안하는 조선평화조건 6개 항을 발표하여 한국의 좌파와 그에 동조하는 세력을 상대로 통일전선을 구사하였다. 북한은 또한 1960년에는 연방제를 제안하여 남한 내 중도 및 감상적 청년 학생들을 회유하고자 하였다. 1980년에는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을 표방한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설을 제안하여 남한 국민들을 선동하였다. 1989년, 김일성은...
[학술논문] 북한 문학의 전형성과 상투성 사이에서 다시 읽기: 감정을 매개로 한 중층적 의미구성
...선전을 위한 목적문학이라는 점을 전제하고 이념성과 집단성의 성격을 지닌 것으로 단정한다. 그리고 그에 대한 분석 역시 북의 문예정책이나 정치선동 이념에 따라 간단히 해석한다. 하지만 그럴 경우 북한 문학이 지닌 문학적 특이성에 대한 분석은 물론이거니와 남한 문학과 만날 수 있는 계기 마저 사라지게 된다. 이에 이 글은 1990년대와 2000년대 조선문학에 실린 ‘조국통일주제’ 문학을 중심으로 이념적으로 읽기를 먼저 살펴보면서 그것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그러한 비판에 바탕해 이 글은 작품의 내적 맥락에 따라 인물들의 감정(혹은 심리적 구조)을 중심으로 매개적 인관관계를 다시 구성한다면 서사의 골격을 새롭게 세우고 다양한 의미를 중층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