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보관광 목적지의 이미지, 감정적 반응,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북한산 둘레길을 중심으로-
...정서적 이미지, 긍정적 반음, 부정적 반응 및 행동의도 사이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보관광지의 인지적 이미지와 감정적 이미지는 감정적 반응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형성됨을 알 수 있으며, 숙박이나 휴양시설과 같은 관광인프라의 인지적 이미지 보다는 휴양과 힐링과 같은 감정적 이미지가 감정적 반응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보관광객의 도보관광지 이미지가 감정적 반응에 유의한 관계가 형성됨을 알 수 있으며, 감정적 반응은 재방문 의도와 구전 의도에 유의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보관광객들의 재방문 의도와 구전 의도를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도보관광지에 대한 인지적인 이미지와 정서적인 이미지의 형성이 매우 중요한다. 한편, 감정적 반응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학술논문] 사회변혁과 기독공동체의 통일준비
대통령 탄핵과 새로운 정권의 출범 이후 남북정상회담이 계속되며 평화공존과 통일에 대한 기대가 커지는 지금, 감정적인 반응과 이념적인 평가가 현실을 이성적으로 바라보고 객관적으로 분석하는데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서 그리스도 공동체는 어떤 시각으로 사회변화를 바라보아야 하는지 또 어떤 마음가짐으로 통일을 준비해야 하는지 검토하는 일은 중요하다. 그리스도인들은 이념의 틀에서 벗어나 신앙의 눈으로 사회변화를 지켜보아야 할 것이고, 편향성과 주관성을 떠나 신중하게 대응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하나님의 뜻이라며 하나님 이름을 오용하는 일은 이젠 그만 두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우리에게 주어진 화해의 사명을 자각하여 분열된 사회와 분단된 조국의 화해를 위해 선을 행하며 사랑을 실천하는 일이 계속되어야 할...
[학위논문] 1950~1960년대 남북한 SF 연구
...북한의 반응은 대조적이었다. 남한이 우주 폭격과 제 3차 세계 대전의 불안과 동시에 ‘선진’한 과학기술에 대한 열망을 표현하고 있었던 것과 달리 북한의 매체들은 ‘평화의 사절’로 인공위성을 표상화하고 사회주의 승리의 상징으로 이를 선전하였다. 스푸트니크 쇼크에 남북한의 문학 또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응답하였다. 남한의 문학은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할 삶의 양태들을 가늠하는 동시에 문학이 무엇을 써야 하는가에 관한 근원적인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에 비해 북한의 반응은 좀 더 직접적이었다. 1950년대 후반의 북한의 문학 텍스트들은 소련이 로켓의 발사를 성공시킬 때마다 시와 수필을 통하여 소련 과학기술에 대한 찬탄의 감정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이 감격의 감정적 에너지를...
[학술논문] 유기와 봉쇄 : 2000년대 한국 독립영화 속 북한 재현
...<박화영>(2018), <소공녀>(2018) 등 가출팸 청소년, 홈리스, 성소수자 등 사회적 소수자를 등장시킨 독립영화들로 전환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앞선 탈북자 영화들이 청년세대가 느끼는 고립감과 곤혹에 대한 심리적 반영이었음을 방증하는 한편, 한국 독립영화에서 탈북자를 소재적으로 취해오지 않았는지 탐문하게 한다. 2000년대 한국의 독립영화는 투사하는 카메라와 공감-동일시라는 정동적 기제를 통해 탈북자 영화를 선보여 왔다. 탈북자 재현 영화는 한국사회 구성원 특히 청년세대가 느끼는 경제적 고립과 감정적 봉쇄에 대한 정서적 반응으로도 독해될 수 있다. 이는 전반적으로 한국의 독립영화가 전위와 저항의 에너지를 상실하고 자기연민과 동정의 내적 충동에 휩싸인 현실의 반영은 아닌가 고민해 봄직하다.
[학술논문] 혁명연극 <성황당>의 수용미학적 고찰-관객의 감정적 수용성을 중심으로-
...창작가-해석자-수용자의 연결에서 수용자의 기대지평을 고려하면서 창작한다. 북한도 텍스트를 최종적으로 해석하는 관객들의 기대지평을 고려하여, 극의 내용과 형식에서 감정조직 구성을 통해 특정한 분위기 미학을 조성한다. 그런 의미에서 혁명연극 <성황당>은 북한에서 주체시대에 관객들이 어떤 방식으로 감정적으로 수용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김일성 창작의 항일혁명연극인 <성황당>이 1978년 재공연되면서 당시 관객들의 반응을 보면 이 연극 텍스트만의 분위기 미학을 조성과 텍스트에 대한 관객의 수용성이 감정조직 구성으로 의도되고 있다. <성황당>은 웃음과 슬픔의 감정이 직교하면서, 내용과 형식 면에서 감정조직을 구성하여 관객들은 하나의 감정 공동체가 되어 텍스트의 주제이자 국가 이데올로기인 인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