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체문예론의 형성과 김정일의 초기 예술론
...김정일의 초기 예술론과 실무지도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체문예론의 형성에는 김일성이 창조했다는 ‘항일혁명문학예술’의 전통을 김정일을 비롯한 주체문예론의 이데올로그들이 1970년대에 각종 예술작품, 공연으로 재현, 재창작한 경험이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이에 주체문예론이 북한 문학예술의 유일 이론으로 정착하는 데 참여한 강능수, 한중모, 정성무 등의 이론적 기여와 김정일의 청년시절 초기(1964-73) 문예론을 구체적으로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미학의 ‘조선화’ 차원을 넘어서 보편 미학과 차별화된 주체문예론의 자기정립이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그 특징은 수령의 영도(최고 지도자의 지도)와 항일무장투쟁기의 예술선동 경험을 유일 전통으로 규정하고...
[학술논문] 북한의 자료를 통해 재론하는 오체르크와 실화문학의 계보
북한에서 오체르크에 관해 최초로 소개하였던 문학평론은 1952년 12월, 6.25전쟁이 한창이던 때, 조선문학의 전신인 문학예술에 실린 리효운의 「문학 장르 오-체르끄에 관하여」였다. 김일성의 외사촌동생 강능수는 1958년 6월의 평론 「오체르크 문학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문제」에서 초상 오체르크를 인물 오체르크로 바꾸어 명명하고, 이것이 북한문학에서 중심되는 오체르크라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인물 오체르크를 실화문학이 계승하는 제반특징들은1961년 9월 최일룡의 평론 「실화 문학에 대한 생각」에서 설명된다. 즉, 오체르크는 첫 번째도입 시기, 초상 오체르크를 인물 오체르크로 명명한 시기, 실화문학으로 바뀌게 된 시기로북한 문학사에서 도입 이후 두 번의 전환을 맞았던 것이다. 첫 번째 도입의 시기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