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茶山’의 초상과 남․북한의 ‘實學’ 전유-1950년대 최익한과 홍이섭의 정약용 연구를 중심으로-
...讀함」에서 구성된 중층적인 정약용의 형상이 분단 이후 1950년대의 남북한에서 간행된 최익한의 『실학파와 정다산』(1955), 홍이섭의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 연구』(1959)로 각각 어떻게 전유되었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식민지 시기 최익한의 다산론에는 봉건제의 내부에서 모순된 질서를 재조정하려는 온건한 유교적 개혁가라는 관점과 사회주의적 경제이론을 선취한 혁명가라는 관점이 공존하고 있었다. 1950년대 분단과 냉전의 사상지리 속에서 발간된 『실학파와 정다산』에서 최익한은 이전에 만들었던 ‘유형원-이익-정약용’으로 이어지는 실학파의 계보를 보다 정교화했다. 그는 서경덕-이율곡-실학파로 이어지는 ‘기(氣)철학’의 계보를 주조하였으며, 자본주의적 화폐경제와 관련된 부정적 사상으로...
[학술논문] 북한 옥류금 연구
.... 대표적인 곡으로 <달빛 밝은 이 밤에>와 <꽃피는 이 봄날에> 그리고 <눈이 내린다>가 있다. <달빛 밝은 이 밤에>는 혁명가극《금강산의 노래》에 노래 곡을 옥류금 연주곡으로 편곡하였고, 옥류금에서 양손을 이용하여 화려한 연주를 할 수 있는 점을 살려 연주할 수 있도록 한 기악독주곡이다. <꽃피는 이 봄날에>는 혁명가극《 한 자위단원의 운명》중 노래곡을 옥류금 독주곡으로 편곡하였다. 옥류금의 연주법 중 아르페지오를 활용하여 편곡된 부분이 있다. <눈이 내린다>는 1965년에 창작된 가요 <눈이 내린다>를 기악곡 화 한 곡이다. 이 노래는 항일투사의 모습을 눈이 내리는 모습으로 형상화 한 곡이다. 옥류금의 연주법 중 서정적인 정서를...
[학술논문] 혁명가극 <피바다> 이전의 북한 민족가극 창작 현황과 특성 연구
...민족가극은 광복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공연되었던 가극이다. 민족가극이라고 하였지만 형태는 달랐다. 세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개량 민족가극이다. 널리 공연되었던 가극을 현대적 양식으로 재현하였다. 전통 연희를 현대적인 극 양식과 현대적인 음악으로 재창작하였다. 둘째, 창작 민족가극이다. 역사를 새롭게 규정하면서, 새롭게 발굴한 이야기로 가극을 창작하였다. 민족의 역사를 소재로 하였지만 새롭게 발굴창작하였다. 셋째, 혁명 민족가극이다. 김일성의 항일혁명투쟁 시기의 이야기를 소재로 하여 민족가극이라는 이름으로 공연하였다. 1960년대 들면서 소재, 형식에서 혁명가극에 가까운 민족가극으로 재창작하였다. 초기의 민족가극이 일제 잔재 청산과 민족적 색채의 복원에 무게를 두었다. 인민이 즐겼던 가극을 새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