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동북지역 개발과 환동해권 진출의 교두보: 훈춘과 쑤이펀허 통상구의 비교 연구
...각기 지린성 창지투와 헤이룽장성 하얼빈-무단장-쑤이펀허 개발지구라는 광역경제권과 인근 북한의 라선 및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톡 등의 동해안 항구도시와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발전할 것인가를 다룬다. 향후 이들 주요 통상 거점도시들 간에 어떤 관계로 발전할 것인가를 조망한다. 중국 동북지역 지역개발과 소지역 협력 및 경쟁은 제도주의 경제학 이론, 특히거래비용이론에 입각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간의 중층적 수준의 연계 구조 하에적절히 이해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이들 결절도시는 성 내 주요도시와 대외 도시사이의 연계를 중시하는 측면에서는 관계망 도시이론으로 대체로 잘 설명될 수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이들 이론은 국제정치나 대외경제 관계에서 초국가적 협력의 특성으로서 본연적으로 내재하는 변수를 고려하지...
[학술논문] 남․북한 간 긴장완화를 위한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근 개성공단 개발 사업을 둘러싼 일련의 사태들로 말미암아 불확실성 확산에 대한 우려와 동시에 잠재적 가치창출에 대한 기대감 또한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남․북한 간 경제협력의 대표적 성격을 띤 개성공단 개발 사업을 통해서, 남․북한 간 긴장완화를 위한 개성공단에 입주한 중소기업들의 역할을 조명해 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북 경제 협력의 한 형태로 추진되고 있는 개성공단사업을 경제적 관점과 정치적 관점으로 고찰해 본다. 또한, 이를 통해서 남한의 중소기업들의 개성공단 진출 현상을 이론적으로 분석한 후 도출된 일련의 명제들을 개성공단에 진출한 중소기업의 대표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입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남한의 중소기업들의 개성공단진출이 남․북한 관계의 긴장완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