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계인 이론을 통한 남한 정착 북한이탈주민 이해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는 1990년 이후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 자녀, 유학생, 재외동포, 북한이탈주민 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을 둘러싼 편견과 차별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경계인 이론(Marginal man theory)은 미국 시카고학파의 로버트 파크 (Robert E. Park, 1864~1944) 에 의해 공식화되고 에버렛 스톤퀘스트(Everett V. Stonequist, 1901~1979)에 의해 발전된 이론이다. 경계인은 이중문화 혹은 다문화 상황 속에서 탄생한다. 한 문화에 의해 형성되고 틀이 짜인 사람이 이주, 교육, 결혼 등 과 같은 이유로 다른 문화와 접촉하게 될 경우, 혹은 태어나자마자 둘 이상의 역사전통, 언어, 정치적 충성심, 도덕적 규율, 혹은 종교에 노출될 경우
[학술논문] 해외 한글문학, 그 확산과 치유의 길
한반도의 남과 북에서 각기 다른 형식으로 축적된 남북한의 문학, 그리고미국・일본・중국・중앙아시아 등지에서 축적된 해외 한인문학을 통칭하여 ‘한민족 디아스포라(diaspora) 문학’이라 호명한다. 문학의 개념적 범주에있어서도 그러하고, 서로 다른 문화권 내에 기식하고 있으면서도 독자적 문화의 성향을 이루고 있는 경계성의 측면에서도 그러하다. 이 작가들은 생태적 환경 자체가 이중 언어와 이중문화의 경계에 걸쳐서 살 수밖에 없고, 그런 만큼 작품에서도 민족・국가・성별 등 여러 층위에서 경계인의 삶과 애환을 설득력 있게 그려내고 있다. 과거에는 한국 내에서 산출된 문학이 아니면 한국문학이 아니라는, 매우 경직된 ‘속지주의(屬地主義)’의 생각이 정설로 되어 있었다. 해외...
[학술논문] 분단 트라우마를 횡단하는 2000년대 한국영화의 탈경계적 상상력
...(불)가능성을 어떻게 상상해왔는지를 다룬다. 분단영화는 탈냉전, 탈영토주의 시대에 남북 간 경계성의 문제, 즉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두를 관통하며 작용하는 차이와 모순의 차원을 보는 관점을 크게 반전시킨 영화들이다. 즉 남북한의 이웃-관계를 가능한 것으로 상상하면서 통일한국의 미래를 소망한 영화들이다. 그러나 영화의 서사, 인물, 공간, 시간이 전달하는 통일 지향적인 의미는 그 이면에 자기모순적인 욕망을 동반하고 있다. 우선 분단서사가 보여준 남북 간 화해 무드는 배타적 민족주의라는 경계성에 기초해 있다. 또한 그 서사의 주인공인 통일 주체는 애도되지도, 상징화되지도 못할 공백의 위상을 갖는 (북한 출신) 인물로서 경계성이 작동하지 않는 예외시간과 예외공간에서 헌신하다가 희생되곤 한다. 민족주의는 공동체를...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을 위한 억양 교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 연구는 함경 방언권 출신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억양 교정을 시도하여 그 효과성을검증함으로써 한국 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자 하는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적극적인 언어적응 교육을 제공할 토대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한국어의 기본 강세구 패턴 THLH와 문장 유형별 억양구 경계성조 특징을 습득하여 기존에 가지고 있던 함경 방언 억양을 개선할 수 있도록 음성분석 프로그램 Praat을 이용하여 억양 곡선을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청각적 피드백을 함께 제공하여 억양 교정을 시도하였다. 강세구 패턴, 평서문과 의문문의 억양구 경계성조, 부정문의 부정부사 음높이를 개선하기 위한 실험 문장을 설계하고 북한이탈주민 2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억양 교정을 실시하였다. 언어 교육전문가 3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