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상질소리의 유형과 그 전파영역
A rice-threshing song is a working song sung when getting grains by striking down a rice sheaf into a wood-mortar or on a threshing-stand with a stone or a stump. I used for this paper mainly my materials that I recorded through field-work during 1985-2004 for farming songs in every town in South-Korea and in some districts in North-Korea. There are the Chugnam type, the Gangwon type, the Gyeongsang-do
[학술논문] 조선후기 조령산성의 운영과 수성절목
조령산성은 1708년 수축되었다. 산성 운영의 규칙인 절목은 1749년에 경상도에서 초안이 마련되어 1751년 12월에 비변사의 검토가 완료되고, 왕에게 보고되어 확정되었다. 이후 1752년부터 1894년 갑오경장(甲午更張) 때까지 절목 규정에 의해 산성이 운영되었다. 조령산성은 큰 교통로를 직접 차단한 관성(關城)이란 점에서 다른 산성들과 구분되는 특징이 있었다. 그러므로 고개를 넘기 위해 계곡 입구의 첫 관문을 통과하여 협곡을 이룬 좁은 계곡에 자리한 2관문을 통과하여 3관문인 조령관을 지나는 길을 차단한 관성(關城)인 동시에, 이 길의 동쪽 높은 위치에 예로부터 입보(入保)하기 유리한 지리적 조건을 갖춘 내외 2중의 산성을 형성하였다. 경상북도 북부의 낙동강 발원지 부군 고을들의 세금이 이 고개를 통해...
[학술논문] 해외 동포사회의 아리랑계 악곡 연구 - 중․러 한인 동포사회 <아리랑>을 중심으로 -
...지역원곡(原曲) 중국러시아비고본조아리랑해주아리랑(차병걸) 아리랑(김동식) 아리랑(이병옥) 사할린 본조아리랑(정성애) 사할린 본조아리랑(이정남) 아리랑엮음1(전두한) 아리랑(김강석) <아리랑(김강석)>은 <본조아리랑>과 <구조아리랑>의 요소가 혼재됨. 구조아리랑새아리랑(전화자) 아리랑 엮음2(전두한) 자진아라리영천아리랑(차병걸) 경상도아리랑(허옥순) 자진아라리(변조) 독립군아리랑(차병걸) 쪽박아리랑(차병걸) 정선아리랑(긴아라리) 정선아리랑(차병걸) 정선아리랑(엮음아리랑) 아리랑연곡(전화자) <아리랑 연곡>의 전반은 정선아리랑, 후반은 진도아리랑>임진도아리랑밀양아리랑 아리랑 엮음4(전두한) 해주아리랑(해주아리랑(차병걸)) 새롭게 창작된 아리랑기쁨의 아리랑(김세영) 장백의...
[학술논문] 북한 지역의 조선 후기~‘근대 초기 (1896~1907)’ 戶籍 자료의 현황과 가치 -북한 지역의 集團傳記學 토대 구축을 위한 호적 자료의 기초적 연구(Ⅰ)-
...3부 내지 4부를 成冊하였기에 5백여 년 동안 상당한 분량의 호적이 작성되었던 것으로 계산된다. 하지만 현재 국내ㆍ외에 남아있는 조선시대의 호적 자료는 1천여 책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1896년 이후에 작성된 호적(‘新式戶籍’)은 그 사정이 다르지만, 그 이전에 작성된 호적(‘舊式戶籍’)은 경상도와 제주도 지역에 편중되어 있고, 연구 또한 이들 지역에 치중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 보니 그동안 일부 남아있는 북한 지역의 호적 자료에 대한 정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연구 또한 미진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현재 한국과 일본, 미국(하와이대) 등에 소장된 북한 지역의 조선 후기~근대 초기 호적 자료는 총 40책으로 파악되는데, 구식호적이 4책(17세기...
[학술논문] 남북한 씨름의 지역적 분포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의 향토오락』에 기재되어 있는 씨름은 전국적으로 226개 지방에서 272회의 씨름을 시행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남한지역의 씨름은 5개의 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서울·경기도는 단오, 백중, 추석에 씨름을 가장 많이 시행하였다. 충청도는 백중과 추석, 전라도와 경상도는 추석, 강원도는 단오와 추석에 씨름을 시행하였다. 셋째, 북한 지역의 씨름은 3개의 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 모두 단오에 씨름을 가장 많이 시행하였다. 넷째, 전국적으로 씨름이 가장 많이 개최되는 시기로 단오, 백중, 추석을 꼽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씨름은 개인별 대항이라기보다는 마을공동체 또는 지역 간의 대규모 놀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