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60년대 북한의 군사주의 확산 과정 연구
...북·중 관계 악화 등 안보 위협이 심화된 1966년에는 경제· 국방건설 병진노선을 강화하고 군사비를 대폭 증액시켰다. 이러한 군사력 강화 정책은 군대의 정치적 참여 확대 및 군사주의의 제도화로 이어졌다. 또한 군부의 정책결정 영향력 증대와 군사력 강화는 김일성의 한반도 혁명 완수 의지와 맞물려 1968년 전후 1·21 청와대 습격사건과 푸에블로호 나포 사건 등 공세적·군사적 모험주의를 추구한 배경이 되었다. 또한 군사주의의 확산은 경제발전전략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군사력 건설이 국가 정책에서 특별한 우선권을 지니게 되었다. 이러한 모습이 정책화되어 등장한 것이 바로 ‘경제·국방건설 병진노선’이었다. 북한 주민들 역시 ‘중공업...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핵무력건설’의 기원에 관한 연구: 김일성 시대 ‘국방건설’ 중심으로
...전원회의에서 ‘경제건설과 핵무력건설병진노선’(이하 경제·핵병진노선)을 채택했다. 이때, ‘핵무력건설’ 은 핵전략을 의미한다. 그런데 북한은 경제·핵병진노선이 김일성 시대의 경제· 국방병진노선을 계승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북한의 논리대로라면, 경제·국방병진노선은 1960년대 버전의 핵개발 구상이다. 한편 북한은 1962년 12월 14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4기 제5차 전원회의에서, 비공개 전략으로 경제·국방병진노선을 채택했다. 그로부터 4년 후, 1966년10월 5일 조선로동당 대표자회의에서 김일성은 ‘경제건설과 국방건설 병진노선’ (이하 경제·국방병진노선)을 조선로동당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