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냉전시대 통일문제 논의의 변천:『통일문제연구』 25년을 중심으로
이 글은 통일 관련 전문학술지『통일문제연구』의 창간호인 1989년 제1권 제1호부터 2014년 상반기 제26권 제1호까지 게재된 61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탈냉전시대 통일문제 논의의 변천 과정을 분석하였다. 통일문제 논의는 첫째, 통일, 민족, 체제 등과 같은 거대 담론을 논의하는 방식에서 각각의 사안에 대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지역 및 경제 이슈와 관련된 논의 역시, 전체 지역이나 경제 일반을 추상적으로 언급하기보다 변경, 특구, 개성, 비무장지대, 시장 등 구체적 대상을 중심으로 전개하는 방식이 증가하고 있다. 둘째, 통일과 관련하여 화해, 평화, 신뢰를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가 예상과 달리 많지 않았고, 안보 용어를 사용한 논문과 평화 용어를 사용한 논문 간에 시각
[학술논문] 그린데탕트의 개념과 추진전략
한반도 그린데탕트를 실현시키고 나아가서 한반도 사례를 갈등해결 모델로 만들기 위해 이 글은 이론적인 관점에서 그린데탕트를 논의한다. 환경이라는 공공재가 갖는 비배제성 속성은 비용 분담의 갈등 가능성을높이는 반면에, 비경합성 속성은 다른 분야보다 협력 가능성을 더 높인다. 즉, 적대적 관계 하에 있더라도 환경협력은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천 가능성이 더 높다. 그린데탕트는 그린과 데탕트 사이의 여러 관계 가운데 환경 이슈가 정치군사적 데탕트를 유도하는 관계인데,이런 그린데탕트는 결코 흔한 현상이 아니다. 다만, 환경협력은 비록데탕트에 의해 시작되었다 하더라도 데탕트가 와해된 이후에도 존속하여 데탕트 복원에 기여하기도 한다. 그린데탕트가 성공하고 실패하는조건들이 있다. 여러 남북한 환경협력 사업 가운데 해당
[학술논문] 1989-2019년 『통일문제연구』 논문 집필진이 분석한 지역과 주제의 변화
...『통일문제연구』 창간호인 1989년 제1권 제1호 이후 30년이 지난 시점인 2019년 제31권 1호에 이르기까지 이 학술지에서 게재했던 논문 총 690편을 대상으로 집필진이 관심을 가지고 분석했던 지역과 주제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전체적인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앞서 『통일문제연구』 2014년 제26권 2호에 나왔던 경제희․ 김재한의 논문 “탈냉전시대 통일문제 논의의 변천: 『통일문제연구』 25년을 중심으로” 및 2015년 제27권 2호에 등장하는 김석향의 논문 “『통일문제연구』 논문에 나타나는 집필진의 특성과 사회과학방법론의 적용 및 활용 동향 분석” 등 두 편에 이어 지난 30년 동안 한국 사회에서 통일 및 남북한 관련 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