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 중・고령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고독감의 매개효과
...탈북 중・고령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신체적 건강, 사회적 지지와 이를 매개하는 고독감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 인적정보 DB를 활용하여 50세 이상의 중・고령 북한이탈주민 215명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탈북 중・고령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은 2.84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신체적 건강, 사회적지지, 고독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독감이 이들 독립변수들과 탈북 중・고령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한다는 구조방정식 모델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학술논문] 과학기술 발전과 북한 여성정책의 지향점 - 장편『녀학자의 고백』에 담겨진 상징코드
...양성에 열성을 다하고 있다. 한정아의 장편소설 『녀학자의고백』의 창작배경은 이러한 북한의 전략과 맞닿아 있다. 『녀학자의 고백』은 경험세대의 집단의식과 새 세대의 개인의식의 갈등이 직설적으로 설명됨으로써 세밀하게 묘사되지 못한 점 등의 많은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지만, 첫째, 작가 한정아가 주인공 리현심이 실험적 연구를 수행해 나가는 과정에서 여성으로서의 고독감을 메워줄 수 있는 세 남자를 내세워 디테일을 강화시키면서 일상성에 매몰되게 함으로써 영웅성을 약화시킨 것은 큰 소득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주인공으로 독신 여성과학자를 앞세워 가정주부 여성과학자와 경쟁관계를 설정함으로써 남한에서의 페미니즘에 가까운 스토리를 만들어낸 것도 큰 의미를 지닌다. 셋째, 북한사회의 한계인 노동력 부족현상을 여성인텔리 계층을...
[학술논문] 코로나시대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강화 방안 –보호에서 자립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의 일상생활은 더욱 취약한 상태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심층조사를 통해 사회 적응 강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심층조사의 결과는 먼저, 사회·경제·심리적 측면에서 매우 취약한 상태에 직면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탈북민은 사회적 고립과 경제적 위기 및 심리적 고독감과 우울증 등으로 취약한 상태에 직면해 있었다. 둘째, 코로나시대 정부지원과 관련해서는 정부의 의료 대응과 현금 지원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셋째, 정부의 정착지원과 관련해서 정착금을 비롯하여 교육과 의료 및 주거 지원에 고마워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북한이탈주민은 사회적응을 위한 가장 우선적인 정부 정책으로 탈북민을 이방인으로 바라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