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기(1945~1950) 북한 문학의 ‘고상한 리얼리즘’ 논의의 전개 과정 고찰 - 『문화전선』, 『조선문학』, 『문학예술』 등을 중심으로
...확대상임위원회’의 결정에서 ‘고상한 사상성’과 ‘고상한 예술성’을 천명한 뒤, 한국전쟁 무렵까지 북한문학의 창작방법론으로 공식화된다. 이때 ‘고상한 리얼리즘’은 긍정적 주인공론에 기초한 혁명적 낭만주의로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가까운 창작방법론으로 인식된다. 이렇듯 ‘고상한 리얼리즘’은 전쟁 이후 ‘사회주의 리얼리즘’으로 고정되면서 해방기에 북한 유일의 창작 방법론으로 규정된다. 해방기에 북한문학의 담론적 지침이 획일화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결론적으로 『문화전선』창간호부터 이어진 북한의 ‘새로운 창작방법론’의 모색이 ‘혁명적 로맨티시즘→고상한 리얼리즘(+혁명적 로맨티시즘)=→사회주의...
[학위논문] 북한의 농민소설 연구 : 해방직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를 중심으로
...초까지의 북한의 주요 장편소설을 분석함으로써 북한 소설의 행간에 놓여있는 현실과 이상, 정치와 예술 사이의 갈등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의 북한 문학에는 않은 다양성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 시기에는 과거의 프로문학 전통과 새로 제기된 항일혁명문학 전통이 공존하였으며, 창작 방법론으로서도 민족문학론, 고상한 리얼리즘론, 비판적 리얼리즘론, 사회주의 리얼리즘론에 대한 해석과 재해석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의 북한 문학을 실질적으로 이끌어나간 이기영, 한설야, 천세봉 등의 작가와 안함광, 한효, 엄호석, 김명수, 김헌순 등의 비평가에게 주목하였다. 이들 속에는 구 카프계 문인과 신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