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tate Ideology and Language Policy in North Korea: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North Korea’s Print Media
...1998년부터 2004년 사이에 발간된 노동신문을 비롯한 북한의 네 가지 신문으로부터 구축된 코퍼스 자료에서 '언어'라는 단어를 검색했을 때 신문기사가 어떤 주제를 전달하는 지를 범주화했다. 분석 결과, 검색어 ‘언어’와 관련해서 ‘단일민족-단일언어 사상’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외래어 대신 고유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언어 순수주의’가 그 뒤를 따랐다. 이런 언어사상은 2014년에 발간된 노동신문을 같은 방법으로 분석했을 때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북한 언론이 ‘단일민족-단일언어 사상’과 ‘언어 순수주의’를 주요 언어정책과 사상으로 전달하는 이유가 사회주의 및 주체사상 고취...
[학술논문] 남북한 전문용어 통합 기준에 관한 연구 - 초ㆍ중등 교과서를 중심으로 -
...고유성, 일의성, 일관성, 국제성, 문법성, 생산성, 친숙성, 윤리ㆍ미학성’의 10가지 기준으로 선정하고 용어를 통일하였다. 그리고 이 기준의 정의ㆍ특성ㆍ선정 근거ㆍ실례 적용을 다루었다. 투명성이란, 그 용어만 보고서도 용어의 의미를 추론할 수 있는 것이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경제성이란, 음절수가 짧은 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고유성이란, 고유어인 전문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일의성이란, 한 용어가 한 개념에 대응되는 것이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일관성이란, 개념의 체계와 용어의 체계가 일관된 방식으로 대응된 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국제성이란, 국제적으로 널리 쓰이는 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문법성이란, 형태론적, 통사론적, 음운론적 규범을 따르는 것이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생산성이란...
[학술논문] 『만인보』 시어 연구(2) - 10권~30권을 중심으로 -
...특성을 구명한 것이다. 그 결과 『만인보』에는 사어(死 語)가 되어가고 있는 고유어, 방언, 개인조어 등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고은 ‘스타일’의 개인조어가 텍스트의 질감을 풍성하게 만들어 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방언은 제1부(1권~9권)에서전라방언에 국한된 양상을 보인 반면 10권 이후에서는 남한의 지역 방언뿐만 아니라 북한 지역 방언을 망라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특이점도 발견하였다. 분량으로 볼 때 2배가 넘는 10권이후의 『만인보』(총 20권)에 사용된 어휘의 양이 『만인보』 제1부에 육박하거나 조금 넘는 수준이라는 것이다. 이는 곧 『만인보』 10권 이후에는 고유어, 방언, 개인조어 등이 제1부에 비해 많이 사용되지 않았다는뜻이다. 그 이유는『만인보』의...
[학술논문] 남북 수학․과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 분석
...다음과 같다. 남북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는 모두 145개이다. 남한은 ‘한자어’가 116개(80%)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북한은 ‘고유어+한자어’가 88개(60.6%)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남북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 대응 유형은 ‘한자어 ↔ 고유어+한자어’의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남한은 수학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데 있어 ‘한자어’를 선호하고, 북한은 ‘고유어+한자어’를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북 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는 모두 250개이다. 남한과 북한 모두 ‘한자어’가 가장...
[학위논문] 북한 역사소설 연구
...작가가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이름 없는 민중들의 넋에 생명을 부여하고 있다. 특히 성 담론과 언어 형상에 있어 이전의 다른 역사소설과 변별되는 점을 지니고 있다. 토속적이고 질박한 어휘를 구사하고 민중들에 대한 생생한 표현을 하여 역사소설의 진실성과 예술성을 획득하고 있다. 작품 전반부에서 보여주는 갈등 제시의 긴밀성과 사건 흐름의 긴박성, 자연형상과 고유어의 묘미를 통한 심리 묘사 등의 소설 미학은 후반부로 갈수록 느슨해지고 산만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성 담론은 다른 북한 소설에 비해 과감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일본의 성 풍속은 야만적이고 변태적인 것으로 그리고 조선의 성 풍속은 고상하고 대의를 위한 일부분으로 그려져 이분법적인 도식성을 보인다. 이러한 성 담론은 조선민족제일주의를 나타내기 위한 또 다른 일환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