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대학 글쓰기 교육의 특징과 통일 글쓰기 수업을 위한 제안
...가지 제안을 하였다. 첫째는 텍스트 선정의 문제이다. 교재에 수록된 예시문의 대부분이 남북 분단 이후에 나온 작품으로, 이들은 그 성격이 체제 편향적이기에 남북의 차이를 여실히 드러낸다. 때문에 통일 글쓰기의 첫단계는 분단 이전에 공유했고, 분단 후에도 양 체제가 공히 출판하여 학생들에게 읽히는 고전 작품을 텍스트로 삼아 ‘서평’과 같은 양식의 글쓰기에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전 서평은 남북을 초월하여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 통일 서사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두 단계에 걸쳐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처음은 지식 층위에서, 작품 내용의 특징에 대한 묘사적 분석적 글쓰기를 진행한다. 다음은 지혜 층위에서, 작품에 담긴 우리 민족의 전통적 가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