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시장화와 통치 - ‘국가 대 시장’에 대한 대안적 접근의 모색
본 논문은 북한의 시장화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을 수행하기보다는 시장화와 통치의 관계를 다룬 기존 논의구조에 일정한 재고를 요청하는 시론적 논의의 성격을 갖는다. 기존의 논의구조는 정치와 경제가 명확히 구분된다는 전제에 기초해 있으며, 북한의 시장화 또한 계획체계라는 정치와 경제의 통합메커니즘으로부터 시장 즉, 경제가 분리되어 국가와 대립하는 것으로 재조정된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시장과 국가(정치)의 대립이라는 선험적 가정에 근거한 질문보다는 복잡한 세력관계와 권력의 통치기술들, 그에 따른 새로운 삶의 구조 및 주체성의 변형에 관한 문제를 다룰 필요를 제기한다. 이를 위해 담론과 공간전략 등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분할·배제의 장치들을 살펴볼 것을 제안한다.
[학술논문] 북한의 농촌공간변화와 ‘국가-농장원’의 행위전략 연구
...문화생활 개변을 ‘사회주의 문명’의 이름으로 추동하고 있다. 농촌 공간을 둘러싼 국가와 농민이라는 행위자는 지향과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국가는 끊임없이 ‘농장원 되기’의 정책을 수행하고, 농민은 지속적으로 ‘농장원 탈피’의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공간에서 행해지고 있는 국가의 공간 전략과 농장원의 되기(becoming)의 행위를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북한의 농촌 공간에는 탈농민화 하려는 농장원과 문명화된 사회주의 계급으로서의 농장원이 공존하며, 국가-의존적인 농민과 농민-의존적인 국가가 실재하는 이중성이 교차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내었다. 결론적으로 국가가 틀어쥔 농촌 공간과 농민계급의 정책은 유효할 것으로 보이나, 미비한 국가의 재원과...
[학술논문] 동화-초국적주의 지정학: 런던 한인타운 내 한국인과의 교류 속 탈북민의 일상과 담론에서 나타난 재영토화
...새로운 버전의 북한이 강화, 발전하는 재영토화가 진행되었다. 동화에 대한 저항, 탈영토화의 형태로 북한인의 초국적주의가 나타나고 이를 둘러싼 통합, 독립의 담론과 갈등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북한인의 초국적주의는 한편으로 영국-한국-북한의 경계가 섞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북한 정체성을 형성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동과 정착, 밀집지역 만들기와 같은 공간전략 속에 나타난 탈북민들의 동화와 초국적주의는 서로 경쟁, 보완하며 정체성 재협상이 이루어지게 하며 그 과정에서 국가 탈영토화, 재영토화가 이루어진다.
This paper looks at how different migrant group’s interactions in their daily lives constitute...
[학술논문] 통일 이후 철도시스템 기반의 도시공간재편전략에 관한 사례비교연구 - 독일 베를린과 베트남 호치민을 대상으로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implication of the urban spatial strategy, especially the railway system and railway station redevelopment, by examining the railway system reorganization plan of berlin and Ho Chi Minh City after reunification. As the city center of the two countries which suffered through division and unification of the territory, the railway system reorganization case of berl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