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접촉지대와 경계의 (재)구성: 임대아파트 단지 남북한출신주민들의 갈등과 협상
...가시성이 두드러져 때때로 ‘작은 북한’이라고도 불린다. 한편 ‘작은 북한’은 남한의 사회경제적 소수자들이 살아가고 있는 터전이기도 하다. 이 글은 이 중 임대아파트단지에서 이웃으로 거주하고 있는 남북한출신주민들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이 어떤 맥락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며,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어떻게 협상하는지, 그리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무엇인지 특히 ‘공간적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글은 구체적인 현장에서 남북한출신주민들의 상호작용과 이를 통해 형성된 사회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이후 남북한 통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예측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
[학술논문] 뉴델리의 접촉지대, 북한 유학생을 만나다: H 대학교 학생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 변화
...해당 학교 학생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외 캠퍼스는일상에서 비교적 동등한 관계, 자유로운 상호작용, 그리고 친밀한 관계형성이 가능한 공간이다. 민족지적 심층면접에 기반을 둔 이 연구는 북한학생 B와 국제학생회 학생들의 교류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참여자들의인식 변화가 어떠한 맥락에서 이루어졌는지 분석했다. 이 연구는 세 가지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첫째, 탈북민이 아닌 해외에서 유학 중인 북한국적자와 타 국적자 간 상호작용을 다루었다. 둘째, 북한 주민과 한국학생을 포함하는 국적이 다양한 학생의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해외캠퍼스라는 공간적 효과에 주목했다. 셋째, 해외 대학이라는 접촉지대의사례는 외부 세계라는 보다 큰 접촉의 맥락을 논의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