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태우정부의 북방정책과 대외전략: 네트워크 이론과 소프트파워의 이론적 적용
냉전의 종식과 공산권의 몰락 그리고 체재이행으로 인해 급변한 국제환경은 남북한 정부에게 매우 충격적이고 세계적인 사건이다. 이데올로기 시대의 종언과 함께 등장한 새로운 국제질서는 한국에게는 대내적으로 통일논쟁에 불을 지폈고, 이것은 통일논쟁의 민간으로의 확대를 의미했다. 대외적으로는 더 이상 서구중심의 외교로는 한국의 발전은 한계에 이를 수밖에 없다는 인식이 대두되었고 이를 통해 노태우 정부는 북방정책을 수립하였다.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은 미국의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방치”(relative, benign negligence)라는 대외적인 환경에서 출발하였고, 제3세계와 동구권, 소련, 중국의 순서로 국교수립과 선린우호관계를 형성함으로서 한국 외교사에 큰 업적을 쌓았다. 이 논문은 노태우 정부가 야심차게
[학위논문] 한국과 헝가리의 수교(修交)와 북한의 대응 연구
...한국과 헝가리의 외교관계 수립 과정과 수교 후 이에 대한 북한의 대응을 살펴본 것이다. 한국의 공산권 외교관계 수립을 위한 노력은 박정희 정부로부터 시작하여 노태우 정부에서 완성되었다. 한국의 공산권 외교는 반공과 안보 중시의 외교노선으로 시작되어, 소련의 해체와 동유럽 국가들의 개방 정책에 힘입어 공산권 국가들과의 수교라는 역사적인 성취를 이루였다. 공산권과의 수교는 한국 외교가 여러 단계 도약한 성과라고 평가한다. 반면 북한은 국제사회주의가 균열을 보이는 상황을 위기로 인식하고, 오히려 독자적인 생존 방식을 추구하였다. 김일성의 외교적 대응방식, 김일성 사후 유훈 통치시기 김정일의 외교 대응방식이 그러하였다. 이러한 국제적 환경속에서 헝가리가리는 경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체제전환을 선택했고, 체제전환 이후 자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