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일유형이 남한에서 탈북이주민 고용에 미치는 영향
... 발견은 북한 시장에서 일했던 일 경험이 남한 노동시장에서 경제적 적응력을유의하게 높인다는 연구결과이다. 이 같은 결과는 북한 장마당 등 시장에서 일했던 탈북이주민의 일 경험이 인적자원으로서 공식 직업경험보다 더 유용하게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간 정부는 북한 비공식일 종사자들을 무직자로 분류해왔는데, 이같은 탈북이주민 직업분류방식을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향후북한 시장화가 진전된다면 북한 주민 인적자원의 개발 혹은 시장적응력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학술논문] 북한 공식-비공식 노동시장의 형성과 여성
... 보이기 시작하였다. 즉, 1990년대 경제난 이후 북한의 공식경제와 비공식경제의 분절이 심화되기 시작하면서 사회주의적 노동관리 체계와북한의 가부장적 제도의 특징으로 인하여 비공식 노동시장이 여성을 중심으로 확대된 것이다. 이는 서구나 동아시아의 이중노동시장 논의는 물론이고,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이나 구사회주의 국가인 동유럽 국가와도 다른 북한 노동시장의 독특한 특징으로 설명될 수 있다. 북한 공식-비공식 노동시장 형성과 여성에 대한 본 연구는 기존의 이중노동시장론 및 통일 이후 노동시장에대한 연구에 주는 함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학위논문] 북한 장마당이 경제와 체제에 미친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연구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 구소련과 동구권의 사회주의체제는 무너지고 시장경제체제로의 체제이행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국가의 공식적인 경제활동이 아닌 암시장과 같은 비공식경제활동이 계획경제를 침식하여 체제가 붕괴되었다는 ‘비공식화 가설’의 이론적 근거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북한 내의 비공식 경제활동의 영향력을 분석한다.
북한 체제에서 주체사상은 정치; 사회; 경제; 문화; 교육 및 스포츠 등 북한의 모든 영역에 근간이 되고 북한 사회의 전 영역을 통치하는 초법적인 힘을 가진다. 처음 북한에서 주체사상은 경제; 사상; 대·내외의 정치 및 국방에서의 주체; 즉 자신들만의 독립 노선을 하나의 이념인 주체사상으로 선포하였다. 이 시기의 주체사상은...
[학위논문] 체제변화에 따른 북한이탈 중고령자의 생애 이직경험과 직업인식 연구
북한이탈 중고령자는 서로 다른 체제에서의 직업경험을 가지고 있으나 노동시장에서 상대적으로 구직이 어렵다. 북한의 직업경력은 인적자본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남한에서 중고령의 나이로 직업능력을 개발하는 것도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사회주의에서 국가의 직업배치로 일했고 평생직장의 개념으로 살아가던 북한이탈 중고령자들은 입국 후 자유로운 이직을 경험하나 자본주의에서 직업능력이 결여된 그들의 직업선택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직의 자유는 선택의 자유이다. 직업은 어떤 체제를 막론하고 개인의 실존적 삶을 보장하는 근본으로 북한이탈 중고령자들이 남한에서 경제적 자립을 이룩하기 위하여서는 직업선택의 자유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 중고령자의 이직경험을 고찰하여 첫째로 이직과정에서 직업선택의 자유가...
[학술논문] 중국 대북 접경지역의 북한 노동력 진입 유형과 요인
...공식적인 취업 허가증과 취업 거류증을 취득한 공식 노동자에서 북·중 간 ‘무역비자협정’과 ‘국경 주민에 대한 통행증 제도’를 이용하거나 단기 방문 및 관광 비자를 취득하여 편법으로 대북 접경지역에 장기 체류하는 비공식 노동자(informal workers)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북한 노동자에 대한 실질적인 제재가 가해진 이후에 이러한 비공식 노동자들의 안정적인 체류와 관리 및 통제를 위한 전문적인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대북 접경지역에 북한 노동자 중개업체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북한 노동력의 대북 접경지역 진입요인은 세 가지 측면 - 1) 중국 사회보험제도의 개혁에 따른 실질 임금 상승, 2) 대북 접경지역의 취약한 노동시장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