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과학환상문학에 나타난 과학의 현장성과 소련의 영향 -현장중심의 과학담론과 주제의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본고의 목적은 북한과학환상문학의 형성과정에서 소련의 과학담론이 미친 영향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해방 이후 소련의 과학담론과 정책이 북한 과학계와 과학환상문학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특히 소련의 과학담론과 정책이 어떻게 북한 과학계에 수용되고, 이러한 흐름들이 과학환상문학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북한 과학환상문학은 소련의 과학소설과 과학담론을 모방하는 과정에서 시작되었다. 소련이 보여준 과학의 중요성과 위력은 이제 막 국가의 모습을 갖춘 북한으로서는 당연히 모방해야 할 아비의 모습이었다. 소련의 과학담론과 정책들은 북한사회뿐만 아니라 북한 과학환상문학의 형성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실재로 소련의 과학담론과 정책들은 북한의 과학뿐만 아니라 과학환상문학의 소재, 주제,...
[학위논문] 1950~1960년대 남북한 SF 연구
...한반도 안팎의 맥락을 고려하여 남북한의 SF를 하나의 필드에서 독해하였다. 이 논문이 Science Fiction의 약어인 SF를 주요 단어로 활용하는 것은 각기 과학소설과 과학환상소설로 번역되었던 남북한의 SF를 한국어문학의 시야에서 동시에 포착하기 위한 것이었다.특히 스푸트니크 쇼크에서부터 촉발된 1960년대의 우주경쟁(Space Race)와 남북한의 과학담론 및 과학기술계의 변화는 SF의 장르 구축에 주요한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마술적 환상으로 이해되었던 ‘우주’와 ‘달’을 과학적 지식으로 새로이 지각하게 하여 인간의 인식 지평을 세계에서 우주로 확장시켰다. 또한 냉전의 구도는 남북한 SF의 서사와 테크놀로지 형상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문제의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