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천안함 침몰원인에 관한 증거위주의 실증적 연구
...천안함 침몰원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한국정부의 발표와 사건 당사자로 거론된 북한을 비롯한 과학자 등에 의한 이의제기 내용을 중심으로 주요쟁점을 선별하고 쟁점별 본증과 반증, 재 반증 그리고 평가 순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천안함은 북한에서 제조, 사용 중인 CHT-02D 어뢰에 의하여 침몰되었다는 사실관계를 과학적으로 재 증명할 수 있었고 북한의 선전선동과 더불어 사건조사의 주체인 민․군 합동조사본부가 사건진행과정에 있어 정보공개의 제한, 실험조건의 차이, 자료에 대한 신뢰저하, 전문기관(가)의 설명미흡, 과학적 현상에 대한 이해부족, 한국정부의 신중치 못한 대응 등에 의하여 한국 내 보수, 진보 간 진영논리가 오버랩 되면서 혼란과 갈등이 야기되었다는 사실관계를 규명할 수 있었다.
[학술논문] 해방과 개념, 맹세하는 육체의 언어들 ― 미군정기 한국의 언어정치학, 영문학도 시인들과 신어사전을 중심으로
... 댕큐 베리 마치”라는 인사말로 상징되는 언어공간은 흔히 ‘모던어’ 혹은 ‘현대어’로 범주화되었다. 여기 서 정치와 법의 형식은 풍속의 형식으로 세속화된다. 2) 미군정기 한국의 신어 중 7할을 장악한 것은 소위 ‘이즘’의 언어였다. 주로 사회주의와 깊이 관련된 이들 신어들은 과학적 사회 분석에 기반하여 일종의 정치적 맹세로 유도되는 경향을 보인다. 소위 선도 개념을 통한 기대 지평의 확보가 이들 언어의 특징이다. ‘역사에서 정치적 약속의 기초’를 이루는 이 이즘의 어휘들은 일종의 코뮨, 즉 ‘맹세로 맺어진 결사’들을 만들어냈다. 해방기 내전적 상황이 친일과 부일협력과 같은 과거(처리)의...
[학술논문] 경제교류와 안보협력 사이에서: 정체된 대중 인식의 결정요인 분석(2003-2013)
수교 이후 20여 년간 한중관계의 눈부신 발전은 다양한 사회과학적 질문을 제기하여왔는데, 무역규모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한국 시민들의 대중 인식은 매우 낮은 수준에서 정체되어 있는 역설적 현실에 대해서 다양한 경험적 분석이 시도되지는 않았다. 그동안 몇몇 경험적 연구들이 시도되어왔지만, 이들은 짧은 시기만을 대상으로 하는 스냅샷 분석의 문제, 대중인식이라는 종속변수의 조작화의 문제 등과 같은 난점들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해서 이 연구는 2003-2013년에 걸친 비교적 긴 기간 동안의 대중인식의 정체현상을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국종합사회조사의 국가호감도 자료를 이용하여, 본 연구는 첫째, 북한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가 중국 인식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둘째 전쟁을...
[학위논문] 북한 김정일 체제의 군사정책 연구 : 1995~2005 : 군사정책 결정요인과 집행수단 분석
...
넷째, 결정된 군사정책은 주로 어떤 수단과 방법에 의해 대내·외적으로 집행되고 있는가라는 과제이다. 특히 핵·미사일 등 대량파괴무기(WMD)를 앞세운 군사적 위협과 협상을 병행하는 대외적 수단은 어떤 경향을 띠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방법론은 정책 과학적 접근(policy sciences approach), 역사적 분석(historical analysis), 행태론적 분석(behavioral analysis), 상징적 분석(symbolic analysis) 그리고 문헌분석을 통한 기술적 접근방법 등이 동원 되었다.
연구결과로 얻어진 결른은 다음과 같다. 먼저 북한은 정권창설 단계에서부터...
[학위논문] 1950~1960년대 남북한 SF 연구
...번역되었던 남북한의 SF를 한국어문학의 시야에서 동시에 포착하기 위한 것이었다.특히 스푸트니크 쇼크에서부터 촉발된 1960년대의 우주경쟁(Space Race)와 남북한의 과학담론 및 과학기술계의 변화는 SF의 장르 구축에 주요한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마술적 환상으로 이해되었던 ‘우주’와 ‘달’을 과학적 지식으로 새로이 지각하게 하여 인간의 인식 지평을 세계에서 우주로 확장시켰다. 또한 냉전의 구도는 남북한 SF의 서사와 테크놀로지 형상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논문은 1950~1960년대의 남북한 SF에 주목하였다. 이 시기 한반도에서 SF가 집중적으로 창작되었던 정치사회적 맥락에 주목하는 한편으로 남북한의 SF 장르가 자리잡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