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ICE연계 남북관광활성화 방안 연구
관광교류와 협력이 국가간의 상호적대감을 해소하고, 신뢰구축을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평화적인 관계 구축을 위한 남북한에게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Matthews & Richter, 1991). 남북한에게 인도적 차원 및 실제적인 이익의 관광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남북한의 국제적인 이미지 또한 상승시켜 관광사업을 크게 육성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이장춘·심홍보, 2005). 또한 정치적 차원에서 남북관광 사업은 북한을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경제적 차원에서 남북한관광의 활성화는 국제적인 홍보 및 관광객 유치를 통해 북한경제의 발전을 가속화 시킬 수 있고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해 남북한의 새로운 경제적 발전을 유도해 낼 수 있다(민경배, 2011). 하지만 현재...
[학술논문] 독일 통일에서의 관광교류 분석을 통한 남북관광교류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과거 동독과 서독의 교류과정 및 관광교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남북관광교류 협력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과거 동독과 서독의 관계는 그 역사적 배경이나 교류의 형태가 현재의 남북 관계와는 다르다. 따라서 분단국가로서의 공통적 경험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교류의 시작과 진행되었던 과정, 그 속도 등에 있어서는 차이가 존재한다. 남북한은 동서독과 달리 한국전쟁의 영향으로 적대적 군사대결 구도가 존재하였고, 전쟁 이후 이데올로기적 대립 또한 전쟁 직후의 적대감과 불신이 유지되어 교류와 협력의 기회가 봉쇄되었다. 남북한의 관광교류는 남한이 북한을 일방적으로 오고 가는 매우 편향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아웃바운드 시장만이 존재하는 매우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다. 서독 정부가 인도주의를 내세워...
[학술논문] 평화 매개자로서 국제관광의 개념과 대안: 이해관계자 맥락과 국제기구의 참여
...가능성을 높인다는 접촉모델(contact model)의 개연성에도 불구하고 관광이 평화를 유도한다는 경험적 증거는 부족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광을통한 평화의 가능성을 포기하는 것은 잘못이다. 관광을 통해 평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먼저 갈등을 둘러싼 행위자 관계의 맥락이 변화해야 하며, 이는 서로 다른 성격과 역할을 가진 다양한 이해관계자(stakeholder)의 참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독립성과 중립성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기구가 이해관계자 대화에 참여함으로써 불신을 완화하고, 대화의 제도화를 이루어 평화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금강산 관광이 재개될 경우 세계관광기구(UNWTO) 등을 참여시킴으로써 남북한사이의 관광교류를 제도화하고, 궁극적으로 한반도 평화통일의 기반 마련에 기여할수 있을 것이다.
[학술논문] 新 베를린 선언과 남북관광 교류 탐색 연구
본 논문은 새 정부의 한반도 평화통일 정책의 기본 방향을 설정한 ‘신 베를린 선언’을 토대로 남북관광 교류 협력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이다. 북한의 도발적인 핵 실험과 ICBM을 포함한 미사일 발사를 하는 위협 속에j서 대화와 압박을 통해 북한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신 베를린 선언’은 한반도 평화를 이끌 수 있는 소프트 파워의 중요성을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걷잡을 수 없는 북한의 도발적 행위와 미국 대통령의 강경 발언 등으로 긴장이 지속되고 있는 현실적 장벽을 극복해야 하는 난제가 있다. 신 베를린 선언은 적극적인 대화와 교류, 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통일을 이룩한 독일의 사례에서 한반도 평화 통일의 해법을 찾을 수 있다는 맥락에서 이해할...
[학위논문] 제한적 목적지 이미지의 다차원적 접근 모델 : 북한관광 빅데이터 사례를 중심으로
...간 실효성 있는 제도와 협의가 요구되며, 특히 군사적 도발 등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된 인지적 이미지 결과를 고찰함으로써 효과적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 상호 간 안전과 위협에 대한 지속적 논의가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금강산, 백두산, 두만강 등 북한의 자연자원에 대한 높은 인지적 이미지를 형성함에 따라 자원의 효과적 활용을 통한 관광교류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통일과 평화 등 남한과 북한의 관계가 지닌 가치성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정서적 이미지의 구성차원은 선행연구의 일반 관광 목적지에서 활용되지 않았던 ‘먼’, ‘극심한’ 및 ‘시급한’ 등 차별적인 텍스트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심리적 거리라는 제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