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인의 북한관광 선택속성이 북한이미지와 북한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North Korea’s culture positively (+) influences the country’s image. Second, amongst the selection attributes, exchanges with North Korean residents, cultural experiences of the country and security in theNorth Korea influence positively (+) the intention of a visit to North Korea. Third, North Korea’s image is positively (+) affecting the intention of visit to North Korea. The main...
[학술논문] 한류 콘텐츠 유형별 선호도와 북한으로 인한 위험지각이 한국 관광지이미지 및 관광의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논문] 서구의 북한여행 다큐멘터리 두 편에 나타난 대상성 인식변화 연구
... 방식으로 복제되고 유통된다. 서구중심의 제국주의적 관점에서 보는 북한은 과거 제국주의 국가가 지정학적 경관의 변화에 따라 식민대상지의 이미지에 대해 토템, 페티시, 우상의 대상성을 부여하는 것과 유사하다. 평범한 배낭 여행가들이 등장하는 <북한을 가다>(2010)는 낙후되고 폐쇄된 기이한 여행지로서 북한을 다루었으므로 여전히 우상적 대상성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띠고 있다. 반면 서구의 유명 스타를 주인공으로 하는 <마이클 페일린 인 노스코리아>(2018)는 현대적 관광지로서의 북한의 매력을 보여줌으로써 토템과 페티시적 성격이 강화되어 외부와의 소통가능성을 높인다. 이 두 편의 다큐멘터리는 남북대치에서 화해 분위기로의 지정학적 경관의 변화에 따라 우상적 대상성에서 페티시적 대상성으로의 변화를...
[학술논문] 정치적 풍경으로서 북한의 명산 연구
...명산을 받아들였으며, 백두산을 혁명의 성산으로 개발하고 난 후에는 기존의 4대 명산에 백두산을 추가하여 5대 명산으로 확장하였다. 김정일 집권 이후에는 구월산을 관광지로 개발하면서 6대 명산으로 확장하여 지금에 이른다. 명산은 자연경관과 역사문화경관이 공존하는 복합 경관이다. 북한 명산의 자연경관은 분단 직후부터 국내·국제 보호지역으로 지정되면서 자연 생태적 가치가 강조되었다. 북한에서는 영험한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하여 상징물을 건축하거나 최고지도자를 칭송하는 글귀를 새기며 신성성을 강조하고 있다. 정치 사상과 관련된 역사 유적이 선별적으로 복원되고, 보호되며 명산의 역사문화경관은 변모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명산의 상징적 이미지는 예술적으로 재현되거나 인민들의 답사와 등산을 통해 일상화되었다.
[학술논문] 북한의 시각매체에 재현된 금강산 이미지
...김일성이 이끄는 사회주 의 체제를 그린 혁명가극의 무대가 된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사회주의 국가들의 체제가 붕괴되 고, 북한의 경제난이 심각해지면서 금강산은 관광지로 변모해갔다. 남북 관계에 따라 금강산은 치 열한 전쟁터에서 평화와 교류의 공간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금강산 하면 아름다운 경치를 떠올리 는 남한과 달리 북한의 시각매체에는 빼어난 경관 못지않게 ‘금강산 팔선녀’ 설화가 중요하게 작동 했다. 금강산을 설화와 결부시킨 이건영이 제작한 평양대극장 면막 그림을 비롯해 ‘금강산 팔선녀’ 이미지들은 인민을 계몽하고,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금강산에 대한 남북 한 인식 차이와 그 원인을 규명한 이 연구는 통일시대를 대비한 미술정책의 방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