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국어 교과서의 언어적 특징에 대한 코퍼스 기반 분석 - ‘경애하는’을 중심으로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n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arts(KLA) textbooks and to explore their educational meaning. I acquired North Korean KLA textbooks from the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converted it to text corpus(hwp file) using Hangul program, and converted it to text file on computer. As a result of analysis of ’North
[학술논문] 김정은 후계 계승의 문화기획으로서 예술영화 ‘백옥’ 연구
...완전무결한 충정, 즉 ‘옥쇄(玉碎)’이다. 영화를 통해 오진우는 ‘죽음을 앞두고서도 두려워하지 않은 인물, 부서져 가루가 되어도 흰 빛을 잃지 않은 충정’으로 신화화(神話化) 되었다. 죽음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애도(哀悼)와 의미 부여를 통해 현실에서의 ‘오진우’ 이미지는 제거되고, 충정과 최고지도자를 향한 일심(一心)의 충정으로 재탄생하였다. 이후 백옥과 관련한 해석에서 철학으로서 ‘백옥철학’으로 확산하면서, 방송언론, 보도 자료 등을 통해 수령에 대한 충성의 관용어로 자리 잡았다. 국가 권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애도-원호의 의례는 목적의식적으로 개입하는 또 하나의 정치행위를 영화 <백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학술논문] 한중번역 실제와 분석 -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 북한어 어휘를 중심으로 -
...‘인터넷 용어·신조어’ 번역에는 ‘대체’, ‘치환’, ‘등가’ 등의 번역기법, ‘관용어’ 번역에는 ‘직역’, ‘등가’ 등의 번역기법, ‘의성어·의태어’ 번역에는 ‘대체’, ‘등가’ 등의 번역기법이 반영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것은‘의성어’, ‘관용어’, ‘속담’ 등과 같이 번역자가 드라마의 의미 전달이 가능한 경우에는 ‘등가’ 번역기법을, 문화적 차이로 인해 중국어로 대체할 만한 단어가...
[학술논문] 북한의 소나무 ‘국수’ 지정과 함의
북한에서 소나무는 “남산의 푸른 소나무”라는 관용어를 떠올릴 만큼 ‘만경대혁명일가’를 상징해 왔다. 그런데 2015년 소나무가 국수로 지정된 이후부터는 역설적으로 민족성이 부각되었다. 북한은 소나무를 국수로 지정한이유를 설명하면서 소나무가 예로부터 민족의 억센 기상과 강인한 의지등을 상징했다는 점, 민족의 삶과 소나무가 밀접하게 관계를 맺어 왔다는점 등을 강조했다. 소나무는 용재림으로서 효용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고 평가받았지만, 국수로 지정된 뒤부터 효용성이 재평가되고 수종 개량연구도 병행되고 있다. 소나무에 투영돼 왔던 ‘지조’, ‘충절’, ‘기상’ 등의의미는 ‘사회주의 수호’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