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도시의 내부구조에 관한 연구
본 논문은 북한의 도시화 과정을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두 측면의 도시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로 북한의 27개 도시를 대상으로 시(市) 산하 동(洞) 의 신설과 확대과정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 갯수의 절반 이상은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사이에 집중적으로 신설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반면 평양과 청진(함북)을 제외하고 1970년대부터 적은 수의 동이 신설되었고, 1970년대 이후 북한의 낮은 도시화 과정의 침체를 나타내었다. 1980년대와1990년대에는 신설된 동의 수가 약간 증가하지만 이는 특별한 도시건설 계획이실현되는 경우임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1980년대 이르러 제일 늦게 시로 승격된 8개 도시의 옛 읍과 옛 노동자구가 있었던 위치를 통해 각 도시의 도심지와부심지의 위치를
[학술논문] 북한 광산 탈탄소화를 위한 DEM 해상도에 따른 태양광 발전소 설치 적합성 분석
광업의 탈탄소화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적 흐름이며, 광업 의존도가 높은 북한에서는 광산 지역에 독립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중요하다. 그러나 장기적인 경제적 수익성을 확보하려면 설치 부지의 적합성 평가가 필수적이다.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은 태양광 발전소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설치를 위한 핵심 지형 정보를 제공하지만, 해상도에 따라 분석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북한 광산 탈탄소화 전략의 일환으로 DEM 해상도가 주요 지형 요소(경사, 경사방향, 그림자, 수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노천광산 지역의 태양광 발전 잠재량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자의 해상도별 상관성은 0.96이며 일관성은 98%로 나타나 두 해상도 간...
[학술논문] 구동독광산 구조개편 사례를 통해 본 통일 이후 북한 폐광지역 지원방안
...감산 정책으로인해 추가적인 타격을 받았으며 광산 지역의 치솟는 실업률로 인해 주민들의 삶의 기반은 붕괴하게 되었다. 독일 정부는 광산의 민영화를 중단하고 공기업을 설립해 단계적인 광산 구조조정과 함께 광해복구와 도시재생 사업을 동시에 추진했다. 향후 남북한이 통일될 경우 북한지역 광산도 생산원가 급등, 환경규제 강화, 생산감축압박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북한광산의 구조개편은 광업 전문기관의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지역사회의 경제적충격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북한 광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지원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광산지역 오염실태에 대한 정밀 진단과 함께 광해복구사업도 병행되어야 한다. 북한광산의 역사적 유산의 보존과 함께 광산지역 고유의 문화콘텐츠가 개발된다면 북한의 폐광지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