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주얼 리터러시 관점에 따른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변화 연구 - 한국 도덕교과서의 사례를 중심으로 -
...시각정보 단계에 따른 비주얼 리터러시 전달요소는 의미를 담기위한 상징, 정보의 기능을 수행하는 재현적 매체, 가장 중요한 시각적 기능을 수행하는 하부구조의 3 가지 개별적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기능에 대한 유형들을 형상, 크기, 색채, 동세, 젠더, 공간 6 가지 요소로 분류하였다. 1990 년대를 전후로 2 차와 7 차의 도덕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을 선정하여 국가, 사회, 개인 유형별로 비주얼리터러시가 어떻게 표현적, 상징적 기능을 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첫 번째, 시각 상징으로 2 차는 국민과 권력자, 자유와 억압, 부모와 자녀의 윤리적 도리, 학생과 선생님의 상하관계 등으로 나타났으며 7 차에서는 남북한의 분절된 국가, 이웃과 부모, 자녀의 사회적 관계, 개인과 집단 책임의 상징으로 나타났다...
[학술논문] 남‧북한 교과서 일러스트 분석 연구 - 남‧북한 중학교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
...Korean art textbooks, research on illustrations in general textbooks remains insufficient due to limited exposure. Although text alone requires multiple statements to express an idea, a single illustration can encapsulate various meanings and effectively convey them(JimoSun, 2009). North Korean textbook illustrations demonstrate social artistic capabilities with revolutionary, conceptual e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