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 교사의 소진에 대한질적 연구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 교사들이 어떻게 소진을 경험하고 있으며 소진의 요인을 무엇으로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에 연구자는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에 근무하는 3명의 교사를 면담하였다. 본 연구결과,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에서 교사들은 정신적·신체적 소진을 겪고 있었으며, 교사 소진이 교육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소진은 일에 있어서 투입(input)과 산출(output)의 불균형에 기인한 것으로, 이들은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에서 과중한 업무를 헌신적으로 수행하고 있었으나 이에 대한 경제적 보수는 매우 열악하였으며, 사회적·제도적으로도 교직 전문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학교에서 행정가나 동료교사와 교육관의 갈등을 겪기도...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학교 교사의 소진 실태와 요인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학교 교사의 소진 실태와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 요인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11개 북한이탈청소년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71명을 대상으로 Maslach 소진검사지(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와 소진 요인과 주관적 건강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우선, 북한이탈청소년학교 교사의 소진 실태를 살펴본 결과, 전체 교사의 약 20%가 소진위험상태였으며, 교사들의 주된 소진 양상은 신체적 소진으로 나타났다. 대안학교 교사들이 특성화학교 교사들에 비해 개인적 성취감 감소를 더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북한이탈청소년학교 교사들은 교사 소진을 유발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과중한 업무를 꼽았으며, 대안학교 교사들의 경우에는 불안정한 신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