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주주의'에 대한 남북한 인식 비교
남과 북은 추구하는 이념과 정치‧경제체제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민주주의' 체제임을 표방하고 있다. 물론 '민주주의'의 개념에 대해서 남북한 간에는 물론이고, 남한 내에서도 커다란 인식 차이가 존재한다. 남한은 ‘자유민주주의’를 통일교육의 목표이자 통일 한반도가 지향해야 할 가치이며, 남한의 정치체제로 강조하고 있다. 반면에 북한은 ‘사회주의적 민주주의’를 정체로 주장하고 있다. 또한, 남한은 북한의 민주주의에 대해 부정하고 있고, 북한은 남한의 민주주의를 ‘부르죠아민주주의’로 규정하고 있다. '민주주의'에 대한 남북한 간의 상이한 인식은 통일과정 및 통일 이후에 남북한이 함께 '민주주의'를...
[학술논문] 북한 문학교육의 사회교육적 양상에 관한 연구 -『청년문학』을 중심으로 -
이 글은 북한 청소년 독자를 대상으로 발간되는 북한 문예지 『청년문학』을 분석함으로써 김정은 시대 북한 문학교육의 사회교육적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의 교육목표는 김일성의 사회주의 교육 테제에 따라 체제 유지 및 선전에 필요한 공산주의 인간형을 양성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교육목표를 이루기 위한 핵심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해 온 것이 바로 문학이다. 이를 위해 북한은 학교교육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교육 차원에서도 문학의 힘을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대표적인 교육매체 중 하나가 문학잡지이다. 북한의 잡지는 모두 당에서 출간되는데, 문학교육과 관련된 잡지로는 『조선문학』, 『아동문학』, 『청년문학』 등이 있다. 이 중 『청년문학』은 주 독자층을 14∼30세의 청년으로 한정하며 전문 작가만이 아니라...
[학술논문]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 북한 교육의 실상 분석 연구 - 북한 소․중등학교 사회과 교육 영역의 교육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교류, 상생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교육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민교육의 관점에서 북한 교육의 실상을 분석해 보았다. 북한 교육의 실상을 들여다보기 위해서 사회과 교육 영역에 해당하는 정치사상 교과목들, 사회주의 도덕, 지리, 역사 교과목을 대상으로 초, 중학교 급에서 배우는 내용들을 살펴 보았다.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 분석 결과를 보면, 북한 교육의 목표와 성격은 기본적으로 북한 사회주의 이념과 정치사상 주입에 있었다. 모든 사회교과 영역의 교육은 사회주의 국가의 우월성, 사회주의 이념, 김일성 일가에의 충성심 고취, 사회주의 국가 유지 발전에의 적극적 참여에 목표를 두고 있었다. 그리하여 세계시민교육에서의 인류의 보편적 가치 교육, 문화다양성 인식과 존중 교육, 글로벌 이슈에의 관심과 인식 교육, 세계화...
[학술논문] 전후 복구 시기 북한의 학교체육 연구: 『교원신문』 학교체육 기사분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의 목적은 북한의 전후 복구 시기에 발간된 「교원신문」 학교체육 기사 분석을 통해 해당 시기 북한의 보통교육 부문 학교체육의 내용을 밝히고 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우선 북한에서 사회주의 교육이 초석을 다져나가던 시기인 1950년대 체육교육의 모습을 재구성한다. 이 자료를 토대로 북한 당국의 체육교육 목표인 “전면적으로 발전된 건전한 일군” 양성 과정을 밝히는 동시에 북한 학교체육의 초기 모습을 찾고자 한다. 전후 복구 시기는 북한 당국이 전쟁의 혼란을 수습하고 사회주의 체계를 잡아가던 때이다. 이 시기 북한은 교육 부문에서 보통교육에 해당하는 초·중등교육이 급격히 팽창하고, 전쟁의 발발로 유보했던 의무교육과 무상교육을 실시하는 등 사회주의 교육의 기초를...
[학술논문] 남북한 통합을 위한 국어 교육의 정체성 탐구 - 사고력 신장에 기여하는 도구 교과의 성격을 중심으로 -
...대비한‘국어’ 교육은 단지 국어 이해와 표현을 위한 기능 교과의 성격을 넘어서 우리 민족의 국어 사용에 작용하는 공통된 사회·윤리·문화적 관점으로써 올바른 언어적 선택 상황에서 작동하는 ‘국어 사고력’을 담당하는 ‘도구 교과’ 가 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 교과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남한과 북한의 국어 교육의 목표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고, 전통적으로 강조되어 온 국어교육 의 내용으로써 비판적·창의적 사고력뿐만 아니라 다양성을 수용하고타인을 배려하는 국어사용의 관점으로써 ‘배려적 사고력’을 강조하였다. 또한배려적 사고력을 근간으로 구체화한 ‘국어 사고력 체계’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