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각필구결 구조도를 적용한 한글 문장부호디자인 시스템 제안
...분석을 위해 새로운 한글 문장부호 시스템을 수립하였으며, 이 시스템으로 디자인한 문장부호들을 한글 문장부호 세칙안에 적용하였다. 2 장에서는 훈민정음을 반포하기 이전 사용되었던 각필구결의 문장부호 기능을 살펴보고 훈민정음 해례본에서의 구점과 두점, 한글 맞춤법 통일안 이전 발견되는 한글 문장부호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나타난 한글 문장부호와 북한의 문장부호를 살펴보았다. 3 장에서는 한글 서체회사의 문장부호디자인을크기, 무게, 너비, 글자사이, 기준선을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였다. 4 장에서는 각필구결에 사용되었던 구조도를 새로운 한글 문장부호디자인 시스템에 적용하여 제안하였다. 우선, 한글 문장부호디자인의 형태체계 원리를 설명하고 한글 문장부호디자인의 제안 방향을 설정하고 기본체계와...
[학술논문] 차자표기 연구의 집단전기학 -남한, 북한, 일본, 미국의 차자표기 연구를 중심으로-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북한의 차자표기연구 결과는 고대 국어의 언어적 실체 규명과 민족주의적 관점을 강조하며 고구려어 중심의 삼국어 동질성 주장을 뒷받침하는 데 활용되었다. 반면에, 남한의 차자표기 연구는 차자표기법 체계화 및 새로운 자료 발굴과 실증적 어학 분석에 집중하였다. 1990년대 이후 석독구결의 발견은 남한 차자표기 연구에 큰 전환점을 가져왔다. 구결학회발족과 함께 석독구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이는 일본 및 미국 연구자들의 관심을 촉발하여 동아시아 한문 훈독 전통 및 문자 차용ㆍ변용이라는 보편적 관점에서의 연구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민족 고유 문자 강조라는 정치적 맥락 하에 석독구결 연구가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차자표기 연구가 초기의 언어 친연성 연구에서 출발하여...
[학술논문] 이두에 대한 북한 학자들의 개념과 인식-홍기문, 김영황, 류렬, 오희복을 중심으로-
...국어학계에서는 이두자를 이와 같이 정의하지 않는다. 박성종(2016)처럼 이두자를 이두토 표기에 쓰인 글자로 한정하거나 북한의 조선어학계에서는 이두자로 보는 새로 만든 글자를 한국 고유한자로서 따로 다루고 있다. 더욱이 이숭녕(1955) 이후로 어휘 표기법을 문장 표기법과 구별하는 경향이 강하였기에 고유명사 표기에 쓰이는 글자를 이두자로 보지 않는다. 또한 구결에 대한 개념과 인식도 남과 북의 학계는 차이를 보인다. 남한의 국어학계에서는 석독구결의 존재로 인해 구결을 우리말 문장 표기법의 일종으로 인식하고 있다. 반면에 북한의 조선어학계에서는 음독구결만을 구결로 보아 구결을 우리말 문장 표기법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한자를 차용하여 우리말 문장을 표기하는 표기법을 지칭하는 이두의 하위 유형에 구결을 넣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