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지역어 연구의 현황과 향후 과제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issues of regional dialects in North Korean. since 2000, Regional dialects in North Korean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New trends on dialectological research, (2) on – Intencification on General linguistic Research (3) appearance of Oral utterance materials (4) the spread of interest on the last period Goryeo dialect of Central Asia
[학술논문] 말뭉치 구축을 위한 북한 방언 조사와 전사의 몇 문제
When investigating and transcribing narratives data in North Korean for the purpose of building a corpus, a number of issues arise. This paper discussed these issues. For discussion, narratives data of informants from Yanggang-do were used. When collecting North Korean data, it is recommended to record narratives data targe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And when investigating and transcribing North
[학술논문] 량강도 지역어의 형성과 방언적 특징
이 논문의 목적은 량강도 지역어의 형성 과정과 그 방언적 특징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삼지연;보천;운흥 출신 북한 이탈 주민의 구술 발화를 분석하였다. 량강도는 행정 구역과 지리적인 특성 때문에 함경북도;함경남도와 함께 동북방언으로 구획된다. 그러나 새로 형성된 도이고 최근 북한의 말다듬기 운동;문화어 중심 운동으로 인하여 문화어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자료 분석 결과 량강도 제보자의 발화에서는 동북방언의 주요 특징을 엿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음운현상;조사와 어미 등에서 문화어와 유사한 특징 역시 찾아볼 수 있었다. 앞으로 북한 지역의 생동한 방언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더 많은 제보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