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일조선인 김시종의 장편시집 『니이가타』의 문제의식- 분단과 냉전에 대한 ‘바다’의 심상을 중심으로
...구제국주의 일본에 이어 등장한 신제국주의 미국에 의해 새롭게 재편되는 아시아태평양의 정치경제적 헤게모니에 따른 한반도 분단의 고통을 겪고 있다. 여기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은 김시종의 『니이가타』의 ‘바다’의 심상과 관련한 정치적 상상력에서 보이듯, 재일조선인으로서 그는 한반도의 분단으로 이뤄진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해 모두 비판적 거리를 두면서 분단과 냉전을 극복한 세계를 추구한다. 이 과정에서 그는 재일조선인을 짓누르는 일본의 국민주의와 국가주의에 기반을 둔 억압적 차별의 문제점을 예각적으로 묘파한다. 그리하여 김시종은 식민제국의 언어를 내파(內破)하는 ‘복수(復讐)의 언어’로써 분단과 냉전의 질곡을 넘는 시적 고투를 펼치고 있다. 이것은 舊제국주의인...
[학술논문] 북핵과 북미 관계: 미국 주도 질서 속 북한의 주권적 지위 문제
...다른 성격을 띠게 되었다. 미국이 동아시아 전략 속에서 북한과의 전략적 협력관계를 맺어나가며 북한 문제와 북핵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미국 내부에서는 현재 미국 주도의 질서를 자유주의 질서로 보는 자유주의자들과 세력균형의기반 위에서 힘의 우위를 중시하는 현실주의자들의 분석과 처방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양자 모두 미국 주도 질서가 구 제국주의 질서로부터 진화되어 온 것이며, 특히 비서구 지역에 대한 위계설정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한다. 북핵 문제의 해결 과정에서 북한비핵화와 북미 수교를 이룰 수는 있지만 진정한북미 전략적 협력관계, 더 나아가 북한의 정상화와 통일을 이루려면 한국은 격화되는 미중 경쟁속에 바람직한 지역질서의 미래를 제시하면서 북핵 문제 해결을 도모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