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 중・고령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고독감의 매개효과
...매개하는 고독감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 인적정보 DB를 활용하여 50세 이상의 중・고령 북한이탈주민 215명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탈북 중・고령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은 2.84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신체적 건강, 사회적지지, 고독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독감이 이들 독립변수들과 탈북 중・고령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한다는 구조방정식 모델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기 심리적 지원을 통한 외상치료, 다양한 사회적 지지의 제공, 건강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및 처방, 사회체육 활동과 지역사회의식...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와 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자활효능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목적은 남한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가 남한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이 두 변수 사이에서 작용하는 심리적 변수인 자활효능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주제를 탐구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그리고 인천에 거주하는 기혼 북한이탈주민 295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주요 변수들 간의 다각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가 종속변수인 남한사회 적응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고, 그 관계에 있어 자활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와 남한사회 적응 사이에 또 다른 심리적 변수인 우울 역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가 그들의 자활효능감에...
[학술논문]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다문화수용성이 통일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본 논문의 목적은 다문화수용도가 통일 필요성 인식에 구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잠재변수로서 다문화수용도, 북한이탈주민 친근감, 통일 필요성 인식을 선정하여 완전매개와 부분매개모형을 구성하였다. 잠재변수에 대한 관측변수는 2015년에 통일연구원에서 수행한 남북한통합 국민의식 조사 자료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가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다문화수용도는 북한이탈주민의 친근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북한이탈주민 친근감도 통일필요성 인식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 친근감은 매개변수로서 부분매개보다는 완전매개변수로 작용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후세대에 통일에 대한 의식이 약해짐에도 다문화 사회로 변하는 현상이...
[학술논문]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적응유연성이 탈북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청소년(10세-25세)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적응유연성은 자아존중감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학술논문] 미디어 접촉에 따른 북한이탈주민 수용성의 변화
본 연구는 미디어를 매개로 한 간접 접촉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국가인권위원회의 ‘2014년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일반국민 인식 및 차별실태 조사’에서 수집되었다. 분석을 위해 미디어 접촉은 매체 유형과 내용 유형에 따라 세분화하였으며,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는 ‘북한이탈주민 수용성’ 개념을 도입하여 행동적, 정서적, 인지적, 제도 및 정책적 수용, 그리고 이해관계에 따른 인정 및 신뢰와 같은 다섯 가지 차원으로 측정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 매체 유형 중 텔레비전·라디오는 북한이탈주민 수용성 중 정서적 수용과 이해관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