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강요된 육탄정신: 구호나무에 목숨 바친 공화국영웅들에 관한 연구
...주민들이 집단주의 체제에서 모두가‘수령결사옹위’, ‘불사조’의 혁명정신을 외치면서 불타는 구호나무를 목숨 바쳐 사수하고 있는데 여기에 편승하지 못할 경우, 당국과대중들로부터 반역자, 반동분자 취급을 받게 되는 것에 대한 공포와 불안의 ‘대중심리’적 행동 요인으로 보았다. 둘째, 구호나무를 지키지 못했을 경우 북한당국의 공식적인 처벌(출당, 철직, 수용소, 추방 등, 향후 자식과 친인척들의 학교 진학, 출세에 악영향을 미침)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공포심리’적행동 요인으로 보았다. 셋째, 구호나무를 지키지 못했을 경우 받게 되는 본인과 가족들, 나아가서 친인척까지 연좌제가 적용됨에 따라 어차피 죽을 목숨‘영예롭게 불타...
[학술논문] 북한의 “정치적 풍경화” 연구: 기억과 망각의 정치적 장치
...북한의 정치적인 장치가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기억과 망각의 관점에서 연구한다. 일반적으로 풍경화는 순수미술로 가정하지만, 사실상 풍경화는 이미 정치적인 내용이 함의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그러한 풍경화를 “정치적 풍경화”라고 명명할 수 있다. 북한의 정치적 풍경화 연구는 구체적으로 백두산, 구호나무, 붉은 하늘, 다리, 파도를 유형화하여 연구한다. 혁명을 상기시키는 백두산과 구호나무, 노동자의 충성심을 상징하는 붉은 하늘, 자연에 대한 정복을 드러내는 다리, 혁명을 예찬하는 거친 파도는 은폐된 정치적 의미를 드러내는 물질적 기호들이다. 북한의 정치적 풍경화는 북한 사회의 물질적인 기록이면서 동시에 기억과 망각의 정치적 작동으로 인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온 역사적 구조물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