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헌법 선군 및 경제조항의 관점에서 바라본 북한 ‘핵-경제 병진노선’의 허구성에 관한 연구
...조항들 자체가현재 북한이 추진하고 있는 ‘핵-경제 병진노선’의 비현실성과 허구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는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자신의 열악한 경제상황과는 달리 핵 개발과미사일 개발에 있어서는 최근 상당한 진척을 보여주었다. 이는 독재자 김정은의 독재권력 유지에 대한 집착이 빚어낸 직접적 결과물일 뿐만 아니라 북한체제의 붕괴를 원하지 않는중국의 변칙적․우회적 지원이 야기해낸 간접적 결과물이기도 하다. 다만 북한의 핵개발과미사일 개발이 안정적 완성단계에는 아직 접어들지 않은 만큼, 기존의 유엔 대북제재 결의2270호의 틈새를 보완하여 조만간 시행되게 될 유엔 차원의 더욱 강력한 대북 제재를 통하여 ‘핵-경제 병진노선’의 실현 불가능성이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고...
[학위논문] 北韓 保健醫療政策의 變遷過程에 關한 硏究 : 政策의 持續과 變化를 中心으로
...체제유지라는 정치적 의도가 내재되어 있기도 하였다.북한의 보건의료정책은 해방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 김일성의 유일체제 완성과 정치·경제적 안정으로 비교적 원만하게 운영·유지되었다. 그러나 1990년 전후 김정일 시대에 들어 동유럽사회주의국가와 소련의 붕괴 김일성 사망 극심한 자연재해 등 영향으로 경제난과 식량난에 시달리면서 소위‘고난의 행군’을 겪게 되었다. 사회주의 형제국가들의 붕괴로 북한에 대한 지원이 감소되는 상황에서 당시 사회주의계획경제에 기반을 둔 북한의 경제정책기조는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한 어려운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당시 국가의 핵심기구인 노동당 조차도 위기극복을 위해 실질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였다.이러한 상황에서 김정일은 대내외적인 위협을...
[학위논문] 북한 선군정치와 시장경제의 모순적 융합 : '관료적 시장경제'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북한의 특성상 통제를 중심으로 하는 다차원적인 분석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중국, 쿠바, 동유럽, 동남아 대표적인 국가들의 개혁기 주요 4대 시장경제정책(자유화, 사유화, 민영화, 주식회사화)의 시행과정들을 북한과 비교하고 그 한계를 지적하였다.
1990년대 동구권붕괴와 북한 경제하락, 자발적 시장화는 체제생존을 위협하는 가장 큰 수단이었다. 이에 1995년 위기관리수단으로 선군정치가 등장했고 선군의 영향력이 국가경제의 대부분을 포섭하기 시작했다. 동시에 5대 권력기관(당·인민무력성·인민보안성·국가안전보위성·검찰소)의 SCCP통제(감시Surveillance, 단속 Crackdown, 검열 Censorship, 처벌 Punishment)가 제도화·가속화되었다...
[학위논문] The Extractive Institutionalization of North Korean Marketization: Dual Market Dynamics and Regional Disparities
...제약하고, 저발전성과 지역 격차를 초래하는지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3장에서는 1990년대 계획경제 붕괴와 경제난으로 인한 자력갱생 과정을 통해 내재화 하기 시작한 시장화 발생 시기에 초점을 두고 제도적 변화 과정을 분석 하였다. 이는 북한의 위와 아래 시장화를 분석하기 위한 인식적 기반을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특히 이중적 시장화의 기원이 된 국가경제의 이중구조화 전략의 형성과 변화과정에 대한 경제정책의 역사적 전개를 다루면서, 이러한 변화가 어떻게 특권 경제가 시장화를 매개로 자원을 중앙에 집중시키는 수단이 되었고, 지방경제가 종속 되었는지의 구조적 기원을 밝혔다. 또한 계획경제 제도적 붕괴 공간에서 시장화를 내재화하면서 대응조치인 '7.1 경제 조치'와 '우리식 경제 관리 방법'과...
[학술논문] 순수 자본주의 제도의 폐해에 대한 북한과 남한의 대응 연구 -프롤레타리아 혁명과 사회법을 중심으로-
...자정적 개선 가능성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사회법 및 수정자본주의에 기초한 응대가 다른 하나이다. 전자의 경우 구소련(舊蘇聯)에서 시행되어 북한에 전파·이식되었고, 후자의 경우 미국의 주도하에 우리나라에 도입·정착되었다. 경제 붕괴 등의 이유로 인해 현재는 그 공식적 이름조차 사라 져버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USSR)의 1990년을 전후한 국가경제 상황과 당시 미국의 경제 상황, 그리고 오늘날의 북한과 우리나라의 경제 현실을 살펴보면 과연 어느 것이 문제에 대한 올바른 접근과 해결 방법이었는지 명료하게 드러난다. 역사적으로 드러나는 경제지표들도 사회법을 통한 문제 해결 시도야말로 근본적 효과를 지닌 탁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