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國語學 硏究의 변화에 따라서 國語學의 下位 領域도 점차 細分化되었고 硏究 主題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기 때문에 國語學의 體系도 傳統的인 分類에서 벗어나 새로운 領域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國語學을 포함하는 硏究分野를 體系的으로 나눈 것은 韓國硏究財團(舊 學術振興財團)의 硏究分野 分類體系가 유일하였지만 지난 2008년 국가과학기술 표준분류체계의 全面 修正으
國語學 硏究의 변화에 따라서 國語學의 下位 領域도 점차 細分化되었고 硏究 主題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기 때문에 國語學의 體系도 傳統的인 分類에서 벗어나 새로운 領域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國語學을 포함하는 硏究分野를 體系的으로 나눈 것은 韓國硏究財團(舊 學術振興財團)의 硏究分野 分類體系가 유일하였지만 지난 2008년 국가과학기술 표준분류체계의 全面 修正으로 人文社會科學 分野가 추가되면서 두 체계가 현재까지 함께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硏究 分類에 대한 改正의 意見이 늘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標準 分類와의 연계성, 硏究 分類의 連續性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분류 체계의 필요성이 이 課題의 출발점이 된 것이다. 이런 점에서 國語學 分野의 下位 領域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現行 分類 體系를 批判的으로 검토하고 외국의...
[학술논문]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북한 산림과학 연구 동향 분석(1962~2016)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산림과학기술협력에 대비하여 북한의 산림과학 관련 학술지 분석을 통해 북한 산림과학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NKtech)의 소장 논문을 대상으로 우리나라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를 토대로 임학 관련 주제어를 검색하여 분석 대상 논문을 수집하였다. 총1,389편의 논문을 수집하였으며 북한 산림업 계획 지표를 토대로 산림조성, 보호 및 이용 분야로 분류하여 각 분야별 북한 산림과학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2012년 김정은 집권 이후 산림조성 분야에서는 나무모 기르기(양묘)와 임농복합경영 분야의 연구 활동이활발하였으며 사름률(활착률)을 강조하고 있었다. 산림보호 분야에서는 산림병해충에 대한 노력이 크며 임농복합경영과 풀뚝다락밭을 통해 토양침식을...
[학술논문]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북한 기상기후 연구 동향 분석: 1982~2022년 북한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에서 출판되는 학술지들에 발표된 논문들을 통하여 북한의기상기후 분야 연구동향과 그 특징을 탐색하는 것이다. 체계적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를 토대로 하여 기상기후 분야 키워드를 간추린 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소장 논문 중 키워드에 해당되는 논문 총 1,263편을 수집하였다. 이후 제목, 저자, 년도, 권호수, 초록의 서지정보를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셀레니움을 활용한 크롤링을 통해 추출한 후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상과학 분야에서는 기상관측 및 분석기술 관련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다. 특히 김정은 집권 이후에는 식량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농업부문과 기상관측부문의 협동을 강조하면서 농업기상과 수치예보 분야의 연구가 강조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