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 정보와 수사 체계 혁신의 법리 - 미국 연방수사국(FBI)과 영국 중대조직범죄청의 사례 -
...사무실이 아니라 “거리를 장악(own the street)”하는 것에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이다. 독립한 국가안보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서, 국가정보 공유의 중심처가 되는 가칭 국가안보총국의 창설이 필요하다. 그 출발점은 해외정보와 국내정보의 분리이다. 국가정보원은 북한을 포함한 최강의 해외정보기구로 남고, 분리된 국내정보는 경찰, 검찰의 수사권과 융합하여 방첩정보 수사기구를 창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검찰과 경찰의 수사권 조정이나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를 대체하여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를 신설하는 것은 기존 치안력의 자리 옮김일 뿐이다. 대한민국 국가안보 체계에 대한 개편의 종합적인 방향은, 제도적으로는 정권을 초월하여 객관적으로 작동할 국가안보 사령탑의 창설, 기능론적으로는 초국가적...
[학술논문] 위기관리와 국가안전보장회의: 법․제도적 고찰
국가안전보장회의는 헌법 제91조에서 대통령의 필수적 자문기관으로 규정하고 있는바, 헌법상 대통령의 다른 자문기관이 임의적인 것과 다르며, 남북한이 군사적으로 대치하고 있는 상황 하에서 국가안보체계 또는 국가위기관리체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에서 그 위상이 다른 헌법상의 대통령 자문기관보다 높다고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포괄적이고 복합적인 우리나라의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국제정세와 북한과 군사적인 위기에 놓여 있는바, 현 정부는 기존의 국가안전보장회의의 사무처를 폐지하는 등 국가안전보장회의의 조직과 기능을 축소시켜 이전 정부보다 국가위기관리 능력이 다소 약화된 문제가 있다. 따라서 향후 조속히 국가안전보장회의의 산하에 법적 근거가 있는 제도화된 상임위원회와 실무조정회의 및 사무처 등을 신설하여 국가안전보장회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