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군의 표창제도 형성 연구
...1948년 10월 12일에는 처음으로 국기훈장이 제정되었고 1949년 6월 13일에는 군공메달이 도입되었다. 북한군의 표창제도는 6⋅25전쟁 초기에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1950년 6월 30일 영웅칭호를 새로 제정했고 7월 1-13일에 전사의 영예훈장, 자유독립훈장, 리순신훈장을 새로 도입했다. 전쟁 전에 도입한 국기훈장과 군공메달의 수훈자도 개전 직후부터 급격히 증가했다. 북한은 6⋅25전쟁 동안 북한인 718,712명과 중국군 450,686명 등 총 1,169,398명에게 표창을 수여했다. 가장 많이 수여된 표창은 전체 수훈자의 81.7%가 받은 군공메달이었고 그 다음은 10.9%가 받은 전사의 영예훈장이었다. 국기훈장 수훈자도 6.6%에 달했으며 영웅칭호는...
[학술논문] 박팔양의 북한 시 연구
해방 이후 북한에 정착한 박팔양은 시인이자 언론인이며 교육자로서 활동하였고 한국전쟁 시기 종군한 공훈을 인정받아 공로 메달과 국기 훈장을 받았다. 권력의 중심에 있었지만 정세에 따라 실권자들이 숙청되는 상황을 목격하면서 시인은 항상 자신의 당성을 증명해야만 하는 부담감을 느꼈을 것이다. 당과 수령을 향한 충성심을 드러내는 것이 박팔양의 창작 동인이 되었으며 이러한 사실은 북한 문인 대부분에게 적용된다. 직설적인 화법으로 체제를 긍정하고 수령을 찬양하는 작품이 다수인 반면 박팔양은 직접적인 표현 이외의 방식으로도 당성을 부각시키고 있어서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북한에서 박팔양이 남긴 시집은 전체 다섯 권으로 그중 세 권은 시선집이고 두 권은 서사시집이다. 시인만의 독특한 시 세계를 다양한 관점으로 살펴볼 수...